검증되지 않은 한약, 안전할 수 있을까?

[기자수첩]

한약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하고 있다. 최근 한약 복용 후 3일 만에 3세 자녀의 머리카락과 눈썹이 모두 빠지기 시작했다는 한 부모의 사례가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한약에 대한 불신은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해당 아이는 지난해 11월 말 탈모가 시작됐으며 9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원 상태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같은 한의원에서 지어진 한약을 먹고 탈모를 겪고 있다"라는 다른 3세 아이 B의 사례가 알려지면서 두 아이의 탈모 원인이 한약에 있는 것 아닌가에 대한 의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의료계는 "결국 한약의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이 되는 것은 한약 임상시험을 통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것이 가장 근원적인 문제"라고 지적하며, "모든 한약의 임상시험 의무화를 조속히 법제화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같은 의협의 주장을 그냥 넘겨서는 안 되겠다. 객관적으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는 마련돼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한약의 조제원료를 비롯해 성분을 명확하게 포장에 표기하는 방안도 마련도 시급하다. 한약의 경우 ‘비방’이라는 이유로 한약 처방전을 전혀 발급하지 않고 있다.

의료법상에도 처방전 발급 대상에서 제외돼 있어, 국민의 알권리를 전혀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한약을 먹고 피해를 입었다 할지라도 손을 쓸 수 있는 방법이 단 하나도 없다. 약 처방전도 없고, 임상시험 결과도 없으니 약을 처방해준 한의사도, 환자도 모를 수 밖에 없는 건 당연하다.

더 큰 문제는 정부가 한약제를 의약품이 아닌 농산물로 취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국민들은 한약의 원산지표시와 성분표시, 함량표시, 부작용 등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지 못한다.

건강보조식품인 홍삼 조차도 기능정보를 첨부하고, 원산지표시 및 성분, 부작용에 대한 기록을 하고 있다.

그런데 ‘약’이라 불리는 한약이 성분표시가 안돼 있다는 것이 말이 되는지 정부에 묻고 싶다.

국민은 과학화되고 표준화된 한의약을 갈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한약에 대한 임상시험을 의무화 하자”는 의료계의 주장을 그냥 넘겨서는 안 된다.

정부가 모든 한약에 대한 성분 검사 결과를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불필요한 논란들을 종식할 수 있을 것이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