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지방식약청의 필요성

[보건포럼]예정훈 의료기기산업협회 법규위 부위원장

세계 의료기기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등 전통의 강국에 이어 5조를 넘는 규모로 세계 11위다. 매년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은 중국, 일본과 함께 어깨를 겨루고 있다,

정부는 매년 의료기기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육성 발전시키고 있다. 많은 연구 개발자금이 지원되고 부처간 협업을 통한 시너지까지 추구하는 실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 오송, 원주에 첨단복합단지가 조성됐으며, 의료기기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경쟁처럼 불붙고 있다.

의료기기는 대표적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이다. 또 인체에 적용되는 위해도가 다양해 전 세계 어느 나라나 규제 산업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제품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규격 및 국가 규격의 준수가 필수적인 산업군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건설된 의료기기관련 첨단 복합단지는 모두 3개가 있다.

강원권인 원주를 시발로 해 대구와 오송이 뒤를 이어 특별법까지 지원을 받으며 미래의 희망을 키우고 있고 관련업체와 연구단지는 각종 검사시설 등의 인프라 지원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유독 원주에는 다른 지역과는 차별이 되는 점이 있다. 이는 규제 과학을 선도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청이 없다는 점이다.

규제기관이 산업에 대한 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해석도 있지만 의료기기는 다른 산업군과는 다른 안전이 우선되지 않고서는 국내는 물론 수출조차 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재 식약처의 지방청은 모두 6개다. 서울청, 경인청, 부산청, 대구청, 광주청, 대전청이 있다. 우리나라 거의 모든 지역을 광역별로 구분해 관리를 하고 있으나 유독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고 원주, 문막 등에 많은 의료기기업체들이 입주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약처의 지원은 받기 힘들게 돼 있다.

과거 이에 대한 제안을 몇 번 한 적이 있지만 번번히 정부의 예산 문턱을 넘지 못했으며, 사실 지리적 특수성보다는 관련기반 산업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명분도 그리 높지 않았다고 이해한다.

강원도는 우리나라 의료기기산업의 상징적인 면을 갖고 있는 곳이며, 많은 업체들이 미래를 위한 먹거리를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곳이다.

정부의 여러 지원도 중요하지만 국민안전의 컨트롤타워인 식약처도 규제 과학을 선도하고 업체의 도움을 주기 위해서라도 원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의 설립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국제조화가 수출에 필수적인 기준규격인 만큼 가장 첨단(尖端)에서 관련업계를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식약처의 지원이 필요한 때이다.


보건신문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