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진했던 'K-뷰티' 방향조정 필요한 때

[데스크칼럼]

승승장구하던 'K-뷰티'가 급랭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해 말 중국이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 무더기 수입불허 조치를 내림으로써 가시화됐다.

최근 중국 질량검역총국이 밝힌 지난해 11월 수입 불합격된 한국산 화장품은 에센스, 클렌징, 마스크 등 스킨케어 제품은 물론 샴푸, 치약, 목욕세정제까지 다양하다. 불합격 판정을 받은 28개 제품 중 19개가 국내산으로 전체의 67%에 달했다

이런 현상의 이면에는 국내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 정부의 경제적 보복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중국을 중심으로 수출에 힘을 쏟고 있는 국내 화장품·뷰티업체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는 것이다.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다소 긍정적인 분석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향후 중국 정부의 제재에 적극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산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40%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업체들이 받을 타격에도 대비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를 반증이라도 하듯 화장품 주가도 줄줄이 급락했다. 중국내 反韓감정 고조와 함께 투자심리도 위축된 탓이다.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 사드 배치를 공식화 한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여 만에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의 주가는 거의 반토막이 됐으며 코스맥스, 연우, 잇츠스킨, 토니모리 등의 관련 주가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사드배치를 둘러싼 한·중간 갈등이 더욱 첨예해지면서 향후 더 큰 낙폭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위주의 수출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국산 화장품 수출은 아직까지 중국·홍콩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기형적인 구조에서는 그만큼 감수해야 할 리스크도 클 수밖에 없다. 중국시장으로 편중된 불균형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세계 1위 중국시장에서의 한류바람은 k-뷰티의 성장에도 한 몫을 했다. 하지만 이제 치솟던 성장세는 정점을 찍었고 중국내 로컬 브랜드의 성장도 국내 업체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프리미엄 화장품 위주의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이제 서서히 더 넓은 시장으로 눈을 돌려야 하는 때인 것이다. 더군다나 중국 정부의 對韓정책이 폐쇄적으로 바뀌고 反韓감정이 고조되는 이 시점에서는 더 이상 망설일 이유조차 없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최근 국내 화장품 업체들은 너도나도 수출선 다변화를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선진 유럽이나 북미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에 땀을 쏟고, 연평균 성장률 15%(Euromonitor 추정)를 웃도는 중동이나 남미 시장 개척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처럼 빠르게 방향을 틀고 있는 K-뷰티의 성공적인 변신을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정부차원의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한 때다.

 


김혜란 편집국장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