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위해선 종합 컨트롤타워 필요해”

신약조합 여재천 전무, 향후 도래할 바이오 경제시대 대비한 필연적 방안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종합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여재천 전무는 11일 조합 대회의실에서 가진 기자단 간담회에서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종합 컨트롤타워 설립은 향후 도래할 바이오 경제시대를 대비한 필연적인 업무 효율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여재천 전무는 “우리나라 바이오 R&D는 세계 10위 경제국 이라는 지위에 걸맞지 않게 예산이 2조원도 안된다”면서 “형편상 많은 돈을 쓸수 없다면 투자 대비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흔들리는 신약개발 예산지원 프로젝트 인큐베이션 보다 신약개발 프로젝트들이 탑재되어 국가예산과 자원을 우선 순위로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신약개발 프로그램이 계속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글로벌시장에서 미국, 일본, 중국, EU 등 신약개발 선진국과 동반자로서 생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여 전무는 또 “우리나라는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약가규제 등 건강보험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국내 제약산업의 성장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 “그러나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을 통해 다국적제약기업이 탄생할 수 있다”고 신약개발의 필요성을 되새겼다.

신약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 누구나 공감하지만 감내해야할 리스크가 너무 높아 국내 제약사들이 제네릭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조금 형편이 나은 제약사는 기술수출을 통해 도약의 기회를 엿보기도 한다.  

글로벌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평균 1~2조원의 비용이 필요한데다 개발기간도 10년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일부 제약사를 제외하고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글로벌 10대 제약사는 연구개발에 718억달러(81조원)을 투자했다. 연구개발에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한 제약사는 로슈로, 114억달러(12조원)를 쏟아 부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상위 10대 제약사가 연구개발을 위해 총 1조1272억원을 투자했다. 글로벌 제약사 한곳의 연구개발비가 우리나라 10대 제약사 연구개발비를 합한 것보다 10배나 많다.

여 전무는 “국내 기업이 자체 연구개발비를 직접 투자하고 지원받은 신약개발에 대해서 인센티브는 필요충분조건이다”면서 “다국적제약기업이 되고자 하는 국내 제약기업과 바이오기업들은 지속경영의 약가 보장 환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서 “외부 기술과 기술 보유기관들과의 시공을 초월한 실시간 상생협력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 신약개발 전략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혁신신약개발의 과반수 이상은 바이오스타트업이나 대학의 연구로부터 도출되고 있다”면서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한 초기 물질에 대한 최적화 지원을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의 공백을 해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성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