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교수 “방문약료 서비스 제도화 필요”

방문약료 및 노인약료 양성 및 수가 현실화 이뤄져야

약사의 방문약료 서비스를 제도화하고 약료방문 수가를 결정하기 위한 경제성평가 및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방문약료 전담약사와 노인약료 전문 약사를 양성하고 방문약료 전담약국 같은 새로운 형태의 약국모델을 고민할 시기라는 설명이다.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는 15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커뮤니티케어 성공을 위한 약사의 역할과 보건의료 분야 협력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성공적인 커뮤니티케어를 위한 약사의 역할’ 주제 발표를 통해 방문약료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서동철 교수는 “지역약사회 주도로 방문약사 풀을 구성해 환자 맞춤형 방문 약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약관리, 의약품 보관 및 투여상황 관리, 중복약 체크, 잔약 폐기 등의 약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재가 환자의 복약관리에 약사가 관여하고 요양원 등 시설 입소자의 복약관리에 기여해야 한다”며 “효율적이고 질 높은 복약상담, 복약상황 점검 등으로 남은 약·중복약·불필요한 약의 발생을 방지해 약제비를 절감하고 환자의 복약순응도 향상과 부작용 감소로 질환의 합병증·부작용으로 인한 의료비 절감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방문약료서비스를 통해 도서·산간 벽지 환자에 대한 의약품 공급 및 복약관리 수행으로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고 단골약국 지정으로 환자별 맞춤 서비스 제공 및 신뢰를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커뮤니티케어에서 약사 방문약료 서비스를 제도화하고 약료방문 수가를 결정하기 위한 경제성 평가 및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 수행한 약사 방문약료 서비스의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시범사업 결과를 평가해 약사서비스의 가치를 반영하는 약사 서비스 표준 모형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선희 부천시약사회장은 ‘커뮤니티케어에서 약사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일본 등 다른 나라 모델을 비교 분석한 후 한국에 맞는 방문약료 모델을 새로이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방문약료 대상자는 병원이나 약국 추천이 가장 이상적이며 다직종 전문가가 커뮤니티케어를 통해 결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방문약료 활성화를 위한 약사회 차원의 과제도 제시했다.

그는 “방문약료 전담약사를 양성하고 상담의 표준화를 해야 하며, 노인약료 전문가 과정 개설을 통해 노인 약료 전문 약사를 양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방문 약료 전담 약국 같은 새로운 형태의 약국 모델을 고민해야 하며, 방문약료 수가의 현실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임중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