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칼슘혈증 유발 PTH 유전자 돌연변이 규명

길병원 이시훈 교수, G단백 결합 수용체의 칼슘 알로스테릭 기전에 관여

저칼슘혈증을 유발하는 PTH 유전자 돌연변이와 연관된 분자기전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가천대 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이시훈 교수는 최근 세계적 저명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신호전달에서 칼슘의 알로스테릭 작용 기전에 관한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미국 피츠버그대학 연구진과 공동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G단백 결합 수용체의 발견으로, 201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 듀크대학의 레프코비치 교수가 책임 편집을 담당해 큰 관심을 끌었다.

칼슘은 뼈 속에 많이 들어있다가 필요할 때 혈액으로 조금씩 유입돼 일정 농도를 유지한다. 하지만 칼슘 섭취가 적거나 섭취한 칼슘을 제때 흡수하지 못할 경우, 부갑상선기능저하 등이 발생할 때 저칼슘혈증이 생긴다.

저칼슘혈증은 혈중 칼슘이온 농도가 1.15 mmol/L 이하일 때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신경근육 이상으로 인한 손가락이나 발가락 뒤틀림, 말초신경 이상 등이 있다.

이외에도 신경불안증, 공항장애, 가슴 답답함으로 인한 과호흡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심장마비로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이시훈 교수는 최근 고해상도, 고정확도 질량분석법과 FRET 기법을 이용해 칼슘의 양성 알로스테릭 작용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작용하는 위치를 밝혀냈다.

혈중 칼슘농도를 조절하는 칼슘의 알로스테릭 현상이 PTH과 G단백질 결합 수용체인 PTH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작용한다는 점을 밝혀낸 것이다.

알로스테릭 작용은 효소 단백의 활성 중심(기질결합부) 이외의 부위에 특수한 물질이 결합해 효소의 입체 구조에 변화가 생기고, 해당 효소의 기능이 저해되거나 촉진되는 것을 뜻한다.

특히 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 발견한 PTH의 25번째 아미노산에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PTH R25C에서는 알로스테릭 현상이 소실되는 것을 발견했다.

PTH의 25번째 아미노산인 아르지닌과 이 곳에 결합하는 PTH 수용체가 칼슘의 알로스테릭 현상에 매우 중요한 위치며, 이를 통해 PTH의 작용으로 혈중 칼슘농도가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가족성 특발성 부갑상성기능저하증으로 저칼슘혈증을 앓고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분석도 진행했다.

그 결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25번째 아미노산이 아르지닌에서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PTH R25C의 돌연변이가 부갑상선 호르몬과 결합하는 수용체의 수용 능력을 저하시켜 혈중 내 칼슘 농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 속 등에 저장돼 있는 칼슘을 혈액 내로 보내는 일종의 신호등 역할을 한다.

이 교수는 "저칼슘혈증의 분자적인 병인을 밝혀낸 것"이라며 "부갑상선 호르몬과 수용체의 상호 작용 및 체내 칼슘 항상성 유지와 뼈에 작용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해 이와 관련된 질환인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부갑상선기능저하증, 골다공증 등 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칼슘은 신체 내 가장 많은 무기질이지만, 현대인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라며 "칼슘은 신체 내에서 부족하더라도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올바른 식습관을 통해서 신체 내 필요한 칼슘을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병적인 이유로 저칼슘혈증 등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정밀 검사를 통해서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는 과학의 전 분야에 걸쳐 탁월한 연구업적을 발표하는 1914년 창간한 권위있는 국제학술지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