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백신, 치료제 없는 ‘뎅기열’ 최선의 예방법은?

KMI, 휴가철 ‘뎅기열’ 건강정보 공유

KMI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회(위원장: 신상엽 감염내과 전문의, 전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관)는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외 유입 감염병 중 가장 흔한 ‘뎅기열’의 예방을 위한  행동지침 등 건강정보를 25일 공유했다.

최근 인천 영종도 을왕산에서 채집된 반점날개집모기에서 뎅기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는 질병관리본부의 발표가 있었다. 검출된 뎅기바이러스는 태국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99% 정도 유전자가 일치했다.

아직 뎅기열이 토착화되지 않은 국내에서 뎅기바이러스 유전자를 가진 모기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뎅기열을 매개하지 않는 반점날개집모기에서 검출된 것도 매우 특이한 일이다.

발견된 모기의 경로를 역학적으로 추정한다면 태국에서 뎅기열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던 반점날개집모기가 비행기를 타고 인천국제공항을 거쳐 영종도에서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하지만 이 모기가 비행기 내부나 영종도 인근에서 뎅기열 환자를 물면서 바이러스를 가지게 되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신상엽 학술위원장

더 나아가 이 모기가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진 상태에서 국내에서 또 다른 사람을 이미 물었다면 해외 유입이 아닌 자국 내에서 환자가 발생하게 된다. 즉, 뎅기열의 국내 유행 및 토착화의 가능성이 열린다는 의미다. 이미 일본은 이러한 방식으로 뎅기열이 과거 여러번 유행했다.

KMI 신상엽 학술위원장에 따르면, 아무 모기나 물린다고 뎅기열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뎅기열의 주요 매개 모기는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다.

이집트숲모기는 추위에 약해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는다. 흰줄숲모기는 국내에서도 발견되지만 국내 모기 표본감시 결과에 의하면 국내에서 발견되는 전체 모기의 0.01%에 불과할 정도로 개체수가 적다.

이번에 뎅기열 바이러스 유전자가 확인된 반점날개집모기는 뎅기열을 매개할 수 있다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국내에서 발견되는 전체 모기의 0.04%에 불과할 정도로 국내에서는 드문 모기다.

즉, 뎅기열 매개 모기 분포 상으로 판단했을 때 현재 국내에서 동남아와 같이 토착화된 뎅기열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실제, 국내에서의 뎅기열은 아직 자국 내 유행은 없었고 매년 200여건 내외의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의 유입 사례만 보고되고 있다.

뎅기열은 모기에 물린 후 4~7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두통, 근육통, 발진, 후안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무증상인 경우가 75% 정도로 더 많다. 이로 인해 현재 질병관리본부에 보고되고 있는 숫자보다 몇 배 이상의 여행객이 뎅기열에 걸려 국내로 들어오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에 뎅기열 매개 모기는 별로 없지만 뎅기열에 걸려 들어온 환자가 늘어나게 되면 결국은 일본과 같이 국내에서도 뎅기열이 유행할 수밖에 없다.

즉, 해외여행 시 뎅기열에 걸리지 않는 것은 자신을 보호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뎅기열 유행 및 토착화를 막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뎅기열은 아직 상용화된 예방백신, 예방약, 치료제가 모두 개발되지 못한 상태다. 때문에 뎅기열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뎅기열을 매개하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다.

뎅기열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방법은 두 가지다.

첫째, 모기기피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모기기피제중에서 DEET(디에틸톨루아미드, N,N-diethyl-meta-toluamide) 또는 이카리딘(피카리딘,Picaridin)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추천된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