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의약 안전기술 수준 미국 대비 81.5%

식품 83.5%·의약품 82.3%·의료기기 80.0% 등

국내 의약품 안전기술 수준이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82.3% 수준이며, 기술격차는 4.0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의 경우에는 미국 대비 80.0%수준이며, 기술격차는 4.2년으로 의약품보다 기술격차가 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식품의 경우에는 미국 대비 83.5%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격차는 4.3년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9년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수준 평가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 식·의약 안전기술(전체) 수준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81.5% 수준, 격차는 4.3년이었다.

기술수준 상위 핵심기술은 ‘식품오염 물질 안전 관리’(90.0%) 등이며 하위 핵심기술은 ‘담배제품류 관리’(73.5%) 등이다.

우리나라 연구단계별 기술수준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기초 연구단계 78.7%(추격그룹), 응용·개발 연구단계 82.8%(선도그룹)였다.

우리나라 연구주체별 기술수준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대기업 81.3%, 중소기업 74.0%, 학계 82.0%, 연구계 82.2%이었다.

식·의약 안전기술수준이 현재 수준에 도달하게 된 주요 요인은 자금 투자(4.2점), 해당 분야 전문가 확보(4.1점), 제도·정책 지원(4.0점), 정보·인프라 구축(3.9점), 해당 분야 수요 증가(3.9점), 산·학·연 협력(3.6점) 등의 순이었다.

기술수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과의 기술격차 초래 주요 요인은 자금 부족(4.2점), 전문 인력 부족(4.1점), 제도 정책 지원 미흡(4.1점), 정보 인프라 취약(3.8점), 국내수요 미흡(3.7점), 산·학·연 협력부족(3.6점) 등이었다.

식·의약 안전기술 개발 주요 장애요인은 전문인력 부족(15.6%), 자금 투자 부족(12.7%), 국가 정책·전략과의 연계성 부족(12.1%), 법령 및 규제(12.0%), 산업화 여건 조성 미비(10.5%) 등이었다.

식·의약 안전기술 수준향상을 위한 주요 방안은 인력 양성(8.7점), 제도·정책 지원 확대(8.7점), 연구비 투자확대(8.5점), 산업화 지원(8.4점), 민간투자 유입(8.1점), 정부주도 투자(8.1점) 등이었다.

식·의약 안전기술 수준향상을 위해 단기적으로 가장 필요한 정책은 자금 투자(8.7점), 제도·정책 지원(8.7점)이, 중기적으로 가장 필요한 정책은 제도·정책 지원(8.6점) 등이, 장기적으로 가장 필요한 정책은 제도·정책 지원(8.5점), 기술의 실용성 확대방안 마련(8.5점) 등이 꼽혔다.


임중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