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식품·맞춤형식품 연구개발 투자 확대

올해 예산 313억원 규모… 전년 대비 약 82% 증액

농식품부는 미래 식품산업 대비를 위해 2025년까지 5년간 유망식품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식품산업의 근간이 되는 가공기술과 식품 포장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추진한다
 

정부가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춘 식품산업 지원을 위해 올해 식품 분야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이를 통해 대체식품·맞춤형 식품·포스트바이오틱스 등 유망식품을 개발하고 식품식품 생산 공정의 디지털화를 통해 제품력과 안전 확보, 수출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미래 식품산업 대비를 위해 2025년까지 5년간 유망식품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식품산업의 근간이 되는 가공기술과 식품 포장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추진한다.

올해 농식품부의 식품 분야 연구개발사업 규모는 지난해 172억원에서 2021313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약 82% 증액했다.

미래 식량·환경 문제와 새로운 방식의 건강관리 트렌드 대응을 위해 대체식품 맞춤형 식품 포스트바이오틱스 등 유망식품 분야 연구개발을 중점 지원한다.

대체식품 분야는 식물 기반 대체식품 산업화를 위한 단백질, 첨가 소재 개발과 최적 배합과 조직화 기술 개발, 배양육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가축 유래 세포 확립과 대량배양 기술과 배양액·세포지지체 등 연관 소재 개발, 단백질 원천 확대를 위한 곤충식품·부산물 등의 활용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맞춤형 식품 분야는 메디푸드등의 용어로 대변되는 건강 관리 목적 식품 시장을 대상으로 식단형 특수의료용도식품 유형 신설 등 최근 급변하는 관련 제도 대응, 핵심 소재·가공기술 개발과 재가식(在家食) 등 최종 제품 적용을 통한 산업화를 지원한다.

특히 맞춤형 식단 제공 서비스 등 사업화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식재료·구성성분·소비량·대상별 식이관리 문헌정보 등 식품 관련 기초 데이터 확충과 식이 설계 알고리즘 개발을 포함하는 맞춤형 식이 설계 플랫폼(가칭)’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포스트바이오틱스 분야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을 타깃으로 하는 프로·프리·포스트바이오틱스와 대량생산 기술 개발, 기존 소재 재평가, 제형화 등을 지원하고, 국내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멀티오믹스(multi-omics) 등 정보를 집적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식품산업 현장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소비자 보호와 제품 부가가치 증진을 위해 식품가공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을 본격 추진한다.

식품 생산 공정의 디지털화와 지능화를 통한 현장 애로 해소와 스마트 제조 시대 대응을 위해, 농식품부-과기부가 협업해 김치, 고춧가루, ·홍삼과 축산물(도축) 등 주요 품목에 대한 데이터·네트워크·AI 기술 기반 대체 공정 개발과 실증을 지원한다.

또 가정간편식·간편조리세트·신선편의식품 등 품질향상과 안전관리 기술 개발, 국내 식품 산업의 소재·설비·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도 꾸준히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2050 탄소중립 사회에 대비한 식품산업의 탈 플라스틱 동참과 간편식 등 다기능성 포장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해 친환경 기능성 지능형 식품 포장 기술개발을 위한 지원도 추진한다.

유니소재화, 경량화 등을 통한 폐기물 감량과 종이 등 플라스틱 대체 소재를 개발해 가공식품이나 배달음식 등에 적용하는 친환경 포장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아울러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고차단성 식품 포장 소재, 내열소재, 탈취·항균 등 다양한 기능성 포장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식품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포장용 센서와 지시계 등 지능형 포장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도 포함된다.

농식품부는 식품 분야 연구개발 사업 예산을 효율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성과 중심의 과제 선정, 성과 관리, 후속 지원 등 전() 단계에 걸친 운영체계 개선도 병행한다.

우선, 바이오·정보통신 등 연관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최근 추세를 반영해 식품기업위주로 한정했던 참여기관 요건을 () 산업 분야 기업으로 완화하고, 우수 연구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가점 항목을 대폭 확대한다.

또 사업 운영과 성과 관리 내실화를 위해 분야별 포럼 구성·운영, 단계별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또는 과제 지원 중단, 농식품 모태펀드 등 자금 투자나 융자 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사업화 지원 강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2021년에는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약 187억원 규모의 46개 신규과제를 선정한다.

올해 신규과제는 유망식품, 가공·포장기술 등 중점 투자 분야에 대해 30개 지정공모과제, 12개 자유응모과제, 4개 제한경쟁과제로 구분해 지원한다.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는 121일부터 222일까지, 신청·접수는 24일부터 222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노수현 식품산업정책관은 식품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대·내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20년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하는 등 미래 성장 잠재력이 큰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K-푸드(Food)와 우리나라의 식품기업들이 미래 식품시장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산업 기반을 영위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활동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