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 대표 종합전문지-보건신문
국산 경쟁력 제고 시급
[의약품 주입펌프 시장현황]
기사입력 2009.09.14 08:41:31 | 최종수정 2009.09.14 08:41:31 | 구득실 기자 | kds01439@hanmail.net
 
대화기기(좌측), 우영메디칼(우측)의 의약품주입펌프   
▲ 대화기기(좌측), 우영메디칼(우측)의 의약품주입펌프 
  
의약품 주입펌프란 환자의 통증 조절이나 항암, 항생제를 투여할 때 일정한 속도로, 일정량의 약물이 환자에게 주입되는 의료기구를 말한다.

통증치료, 항암치료 등의 화학치료 요법이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약품 주입펌프는 산부인과, 통증의학과 그리고 종양내과 등의 진료과에서 주로 사용된다.

크게 물리식과 전자식(기계식)으로 분류되며, 물리식의 경우 일회용 소모품으로 수술실이나 일반 병동에서 치료에 필요한 약물 주입 시 이용되는 반면 전자식은 수술 후 중환자실, 응급실, 병동 내에서 진통 치료 목적으로 정확한 약물 주입과 정밀한 기록기능을 필요로 할 때 사용된다.

■시장현황
국내에서 의약품 주입펌프 중 전자식을 생산하는 업체로는 우영메디칼, 대화기기, Amp all 등이며, 외산업체로는 Terumo(일본), JMS(일본), Nikkiso(일본), Fresenius Kabi(독일), B.Braun(독일), Arcomed(스위스), Baxter(미국), IVAC(미국)등이 있고, 물리식 생산업체로는 우영메디칼, 에이스메디칼, 성원메디칼 등이 있다.

물리식의 경우 105억원, 전자식의 경우 시장규모는 연간 70억원으로 매년 10%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산 대 외산의 판매비율은 약 3대 7로 대형병원의 경우 외산을, 중소병원은 국내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이는 제품가격 측면에서 국내산의 경우 약 100만원 안팎인 반면 외산은 130만~150만원 선으로 가격적인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성능과 편의성이 높고 디자인 면에서도 외산이 국내산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업체현황
우영메디칼(대표 이영규)은 국내 최초로 Disposable silicone Balloon Infusion Pump을 개발해 현재는 물리식과 기계식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96년 국내 의약품주입펌프 시장에 첫 진입을 시작으로 그동안의 오랜 역사와 높은 품질수준 그리고 시장의 요구에 빠르게 대처하며 선진기술을 국내에 도입하고 특성화 된 품목을 개발하는데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선진국에서 요구하는 CE, FDA 그리고 ISO 국제 규격을 보유함으로써 품질과 기술력에 대한 강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점들이 해외에서 인정받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현재 수출실적은 물론 국내 시장에서의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우영메디칼은 이달부터 프랑스 현지 법인을 공식 운영하면서 보다 많은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다.

해외 수출확대를 통한 국산 제품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며, 끊임없는 경영혁신과 품질개선 활동을 통해 한국의 의료기기 대표 기업이 되고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전자식 의약품 주입펌프 생산만을 고집해 온 대화기기(대표 이안배)가 야심차게 선보인 ‘MEDIFUSION MP-1000’은 모든 종류의 표준 수액세트에 대한 자료가 입력돼 있어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전원이 켜지면 Microprocessor가 자동적으로 모든 기능이 정확하게 작동하는 지를 검사하는 자기진단 테스트를 실행한다. 또한 7-segment와 LED를 통해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모든 종류의 작동 명령을 쉽게 알 수 있다고 한다.

대화기기는 대학병원에 대한 마케팅 강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대학병원의 경우 보통 사용물량이 500대 이상으로 수요가 많기 때문에 적극 공략해야 할 대상이라고 말하는 이 업체 관계자는 품질 향상과 고객의 요구에 맞는 개발 개발에 힘쓰겠다고 한다.

■문제점 및 대응안
의약산업의 특성상 환자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잠재적 위험성까지도 배제하고자 제품 생산에 있어서 철저한 관리는 물론 사전·사후 모니터링을 강화해야만 한다.

이에 업체 대부분은 환자의 안전과 사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제품 개발에 임하고 있다. 국내의 다른 산업도 이와 유사하지만 실제 사용자인 의료진 요구에 따른 대응이 늦어 개발이 지연되고 정책적인 난관에 부딪히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고 업계 관계자는 토로한다.

최근 아무리 규제가 완화됐다고 하나 사소한 변경일지라도 재차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불필요한 요소들이 여전히 영세한 업체들의 발목을 붙들고 있다고 그들은 말한다.

또한 영세한 의료기기 업체 입장에서는 해외전시회 및 다른 홍보활동에 전념할 여력이 없어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구득실 기자 (kds01439@hanmail.net)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