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업계 ‘차이나 리스크’ 불안 고조

[데스크칼럼]

K-뷰티의 확산과 함께 국내 화장품산업 규모도 비약적으로 확대됐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2015년 말 기준 126000억원으로 이미 세계 10위권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수출액도 지난해 5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 화장품산업 수출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418330만달러(한화 47899억원)로 전년대비 44%나 급증했다. 최근 수년간 이뤄진 이 같은 수출액 증가는 물론 중국·홍콩 등의 중화권에서의 K-뷰티의 힘이다.

국내 화장품 업계의 대 중국 수출액은 157027만달러(한화 17980억원)로 전체 수출액의 37.5%를 차지하고 있다. 또 대 홍콩 수출액은 124825만달러로 29.8%를 차지, 이 두 지역의 점유율만 무려 67.3%에 달하고 있다.

최근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논란으로 중국 시장이 경색 조짐을 보이고는 있지만 중화권 수출 점유율 67%는 여전히 거대 중국시장의 위용을 보여주는 수치다.

하지만 의존도가 크면 리스크도 큰 법이다. 향후 사드 배치가 가시화되면 중국정부의 수입규제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의 불안감도 점차 커져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중국 정부의 수입규제가 엄격해 지면서 한국 화장품의 수입 불허가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최근 중국의 검역 강화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확대될 것이므로 국내 기업들이 차이나 리스크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 질검총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5년간 수입 화장품 불허건수는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였다. 2014년부터 검역이 보다 강화되면서 지난해에는 200건을 넘어섰다.

이런 와중에 정부는 국내 화장품산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중소업체 수출 확대를 적극 지원한다고 밝혔다. 중국, 대만, 유럽, 미국, 일본 등 5개 주요 수출 대상국을 중심으로 통관불허 사례집과 수출·통관 가이드라인을 제작·배포하고 중국의 화장품 관련 법령·규제 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검색 가능한 종합정보포탈도 운영한다는 것이다.

올해 3월에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되는 화장품산업 발전 기획단(가칭)’도 가동된다. 기획단은 화장품산업의 중장기 비전과 미래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종합전략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유망 신소재·신기술 개발을 위해 20개 산학연 연구과제에 대해 505000만원의 R&D예산도 지원한다고 한다.

이처럼 정부의 수출 지원정책이 급물살을 타고 있기는 하지만 대 중국 리스크를 감당하기에는 버거워 보인다. 더구나 거대기업과 중소업체의 양극화가 극심한 국내 현실에서는 전반적인 시장 체질변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 품질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정부뿐만 아니라 업계 스스로도 체질 강화를 통해 중국 중심의 수출전략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향후 우리가 영역을 넓혀야 하는 유럽·북미 등의 선진시장은 중국 등의 아시아 시장만큼 만만하지 않다. 이미 품질과 인지도를 앞세운 글로벌 브랜드들이 대거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가격경쟁력만으로는 진입장벽을 낮출 수 없다. 무엇보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늘리고 신소재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다.

 

 


김혜란 편집국장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