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이물질 신고건수 5년간 3만743건

1위 벌레, 2위 곰팡이…신고 후 취하건수 오히려 늘어

식품 속 이물질에 대한 신고건수가 5년간 3743건에 달했다. 5년간 이물질 신고건수는 소폭 하락했지만 신고 후 취하건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종필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2~2016) 이물질 신고현황에 따르면 20126540, 20136435, 20146419, 20156017, 20165332건으로 소폭 하락하고 있으나, 반면 이물질 신고 후 자진 취하한 비율은 201213%(847), 201315.6%(1006), 201416%(1026), 201518.5%(1111), 201620.6%(1098)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식약처는 영업의 종류 및 이물의 종류에 따라 행정처벌을 가하고 있는데 지난 5년간(2012~2016) 2808개의 업체가 시정명령, 품목제조정지, 영업정지의 처분을 받았다. 특히 식약처는 1년 동안 동일한 제품에서 동일한 이물질이 발생하면 가중처벌을 하고 있다. 2012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64개 업체가 가중처벌을 받았으며, 3~4차례 행정처벌을 받은 업체는 8개였다. 8개 업체는 1년 동안 3~4번이나 동일한 제품에서 동일한 이물질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2012년부터 20178월까지 행정처벌 별 이물질 종류 상위 5가지를 보면 시정명령을 받은 업체들의 경우 벌레(432), 곰팡이(338), 머리카락(262), 플라스틱(203), 비닐(163)이었다. 품목제조정지를 받은 업체에서 나타난 상위 5가지 이물질은 금속(143), 곰팡이(45), 벌레(23), 유리(20), 기생충(4)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식약처가 이물질 발생 접수 이후 15일 이내에 조사업무를 처리 하도록 하고 있지만, 지난 5년동안 (2012~2016) 접수 후 15일 이후에 처리한 건수가 무려 40%가 넘었으며 30일을 넘긴 경우도 13%에 육박했다는 점이다. 식약처의 처리기간이 지연될수록 사실관계 확인이 어려워 정확한 조사가 불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윤종필 의원은 소비자가 제품 섭취 중 이물질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심리적인 충격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재발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식품위생법상 처벌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