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미 농축산물 무역수지 6조9천억 적자

박완주 의원 “대응책 마련, 농축산물 시장보호에 집중해야”

지난 822일 한미 FTA 공동위 제1차 특별회기 당시 미국 측이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산 농축산물 관세 즉시 철폐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93일 미국의 통상전문지인 ‘Inside U.S. Trade’s’에 따르면 822일 한미 FTA 공동위 제1차 특별회기가 서울에서 개최됐을 당시 미국 측은 남아있는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한국의 관세를 즉시 철폐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하면서, 미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 개방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와 함께 미국측은 미국이 한국산 농축산물에 부과하는 관세 철폐 기간을 5~10년 연장해 달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월 기준 농축산물 1531개 품목 중 관세가 철폐된 품목은 957(62.5%)이고, 관세가 남아 있는 품목은 574(37.5%).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사실관계를 확인한 결과, “구체적 품목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 농업분야에 대한 시장접근 개선이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FTA 체결 이후 미국산 축산물·과일 등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고,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만약 FTA 농축산물 분야 개정협상에서 추가 시장 개방이 이뤄진다면, 우리 농가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FTA 발효 전인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미국 전체 평균 무역수지는 924400만달러였던 반면, 2016년 무역수지는 2324600만달러로 2.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축산물의 경우 FTA 발효전 5년 평균 대비 2016년 수출은 36600만달러가 증가했으나, 수입은 133200만달러가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는 96600만달러 가량 악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만 보면 농축산물 수입은 약 68억달러, 수출은 약 7억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10배에 달해 61억달러의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했다.

수입 동향을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축산물 수입액은 발효 전 5년 평균 8.4억불 대비 지난해 18.2억불로 2배 이상 증가했고, 전체 농산물 수입액은 발효 전 5년 평균 42억불 대비 발효 후 지난해 44억불로 3% 증가했다. 쇠고기의 경우 발효전 5년 평균 301백만불 대비 지난해 1035백만불(244%), 체리는 3000만달러에서 11000만달러(267%), 치즈는 6200만달러에서 16900만달러(172%), 오렌지는 11천만불에서 21000만달러(91%)로 증가했다.

박완주 의원은 한미 FTA 체결 이후 미국산 축산물·과일 등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고,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시장개방이 이뤄져서는 안된다미국이 무역수지 적자를 이유로 이번 한미 FTA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한 만큼, 우리 정부도 농축산물 무역수지 악화와 미국산 축산물·과일 등의 수입 증가량을 근거로 추가 시장개방 불가를 선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미국의 쌀 시장 개방을 요구 가능성에 대해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체결한 모든 FTA에서 쌀 관련 16개 품목은 양허가 제외돼 어떠한 협정상 의무도 부담하지 않고 있고, 지난 20147월 쌀 관세화 유예종료 당시 향후 모든 FTA에서 쌀은 양허제외라고 발표한 정부의 기본방침을 원칙으로 대응해야 한다농식품부는 쌀 시장 개방 요구 가능성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별 대응방안을 마련해 향후 예상되는 FTA 개정 협상에서 우리 농축산물 시장 보호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