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메르스 사태 겪지 않으려면

[기자수첩]

지난 2015년 다나의원을 시작으로 발생한 일련의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는 우리사회에 적지않은 충격을 아겼다. C형간염 환자가 걷잡을 수 계속 증가하자 온 국민을 패닉에 빠뜨린 ‘제2의 메르스' 사태가 재연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까지 낳았다.

의료기관의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등의 이유가 C형 간염 집단 발생의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보건당국의 허술한 감염관리체계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사태의 심각성에 국회에는 C형간염을 전수감시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으며 정부는 C형간염을 제3군 감염병에 포함시키고 지난해 6월부터 전수 감시에 들어갔다. 

C형간염은 혈액을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성적인 접촉이나 수혈, 혈액을 이용한 의약품 등을 통해 감염되는 감염병이다. A형이나 B형 간염에 비해 흔하지는 않지만 수개월간 방치시 만성간염으로 진행되다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다. C형 간염으로 인한 간암도 전체 간암 원인의 15%에 이를 정도다.

C형 간염은 현재까지 백신이 없는 상태다. 예방이 최우선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조기 진단을 통해 감염 여부가 발견되면 충분히 완치가 가능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소견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가검진을 통한 C형간염 조기 검진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정부는 효과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며 미적거리는 입장이다. 근거로 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실시한 'C형간염 검사 시범사업' 결과 유병율이 높지 않아 국가검진에 포함시키더라도 전수검사가 아닌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

국가건강검진 선정 원칙인 유병률이 5%를 넘어야 되지만 이에 미치지 못해 당장 전면적인 도입은 힘들다는 판단이다. 더구나 시급한 여러 항목들에서 국가건강검진의 요구가 많은데 C형 간염 하나만 놓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확진 환자들이 받을 차별 문제와 급여가 된다고 해도 치료제가 고가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처럼 C형 간염 검진의 국가건강검진 선정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분명한 것은 혹여 상상도 하기싫은  제2의 메르스가 우리에게 닥쳤을 때 이전의 똑같은 실수는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