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ESC 심낭질환' 첫 가이드라인에 연구 3편 인용돼

장성아·김은경·정동섭 교수 심낭질환 클리닉 운영중

삼성서울병원이 그간 축적해 온 전문 진료와 수술 치료, 임상연구 성과가 유럽 가이드라인에서 인정됐다.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은최근 유럽심장학회(ESC)가 처음으로 발표한 심낭질환 가이드라인에서 삼성서울병원 연구가 총 3편 인용됐다고 23일 밝혔다.

가이드라인에서 인용한 국내 논문 4편 중 3편이 삼성서울병원의 연구로, 국내 의료기관 중 기여도가 가장 컸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심낭질환은 심낭 자체의 문제로 단독 발생할 수도 있지만 심부전, 자가면역질환, 감염, 악성종양 등 다양한 기저질환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생각보다 흔하지만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일부에서는 희귀질환이나 악성질환과 연관되어 복잡한 임상 양상을 보여 진단이 쉽지 않다.

또 환자마다 병태와 진행 속도가 달라 치료 전략을 일률로 하기 어렵고, 정확한 진단과 위험도 평가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특히 심낭절제술과 같은 수술 치료는 매우 고난도여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숙련된 전문 인력이 집도해야 하고, 수술 후에도 심장기능, 염증 조절, 합병증 예방 등에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장성아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심낭질환은 발생 배경과 임상 양상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개별화된 치료 전략이 필수고, 높은 수준의 다학제 협진 체계와 전문 클리닉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삼성서울병원은 복잡한 환자들을 통합적으로 진료하며 고난도 케이스를 경험해 왔다"고 설명했다.

삼성서울병원 심낭질환 클리닉은 2009년 국내 최초로 개설됐으며, 현재 순환기내과 장성아·김은경 교수와 심장외과 정동섭 교수를 중심으로 운영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심낭질환 분야에서 오랜 임상 경험은 다수의 연구로 이어져 등 삼성서울병원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심장질환 레퍼런스 센터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삼성서울병원의 연구가 심낭절제술의 적응증과 시기, 예후를 포함한 수술 전략을 제시하며 치료 기준을 명확히 하는 근거로 활용됐다"며 "관상동맥석회화 검사를 이용한 고위험 환자 선별 방법을 제안해 비침습적이고,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 도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