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가 역대 최대의 수출 실적을 달성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관세청은 2025년 9월 누계 기준 '케이(K)-푸드'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억8000만달러를 기록하며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전년도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 K-팝 아파트(2024년)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케이(K)-푸드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 실적은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케이(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전년동기대비 6.7% 증가한 52억달러를 기록하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수산물'은 '김'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11.2% 증가한 23.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축산물'은 2억8000만달러로 50.3%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 밖에 '농산물'과 '임산물'도 전년동기대비 각각 5.6%와 24.6%의 증가세를 보였다.
세부 품목별로는 '라면'이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한 11억3000만달러를 기록하며 맛있게 매운 케이(K)-라면의 여전한 인기를 증명했고, 글로벌 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한 '김'도 14.0% 증가한 8억8000만달러로 수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 외에도 '전통 한과'를 포함한 과자류(+2.0%), 국민 입가심 필수템인 '믹스커피' 등 커피조제품(+15.8%), 발효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고추장․된장' 등 소스류(+7.2%)와 각종 음료(+2.6%) 등 주요 품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며 K-푸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2025년 9월 기준 케이(K)-푸드 수출 상위 3개 국가는 미국(16억달러, +13.1%), 중국(15억달러, +12.5%), 일본(11억6000만달러, +6.7%)으로 이들 3개국이 전체 수출의 절반(50.2%)을 차지했다.
수출액 상위 10개국 중 9개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이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국가(한국 제외 20개 회원국)로의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8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한 홍보와 마케팅이 향후 케이(K)-푸드의 해외시장 확대과 수출 증가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이번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29개 기관과 기업들을 케이(K)-푸드 공식 협찬사로 선정해 치킨, 라면, 떡볶이, 순대, 한과 등 인기 먹거리를 각국 정상들은 물론 외신에도 적극 소개한다는 계획으로 글로벌 홍보 효과가 기대된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