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가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투쟁의 강도를 한층 높이며 전국적인 조직 행동 체제로 전환했다. 단순한 상징적 시위를 넘어, '투쟁본부'를 출범시키고 정부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 전국 집회까지 불사하겠다는 강력한 입장을 밝혔다.
약사회는 3일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제3차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릴레이 시위'를 통해 "한약사 불법 행위 방치는 국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사안"이라며 정부의 즉각적인 제도 정비를 요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장은 "이제 시작이다. 모든 정책과 행동은 살아 있는 생물처럼 반응한다"며 "정부의 반응을 보며 강도를 점점 높이고, 이 문제가 완전하게 해결될 때까지 멈추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투쟁의 핵심은 기존 릴레이 시위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해 '투쟁본부'로 격상된 점이다. 전국 16개 시·도지부장이 모두 참여하는 본부 체제로 확대되면서, 대응의 범위가 특정 지역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됐다.
권 회장은 "이제는 전국 단위의 공력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라며 "회원 누구도 이 사안에서 예외일 수 없다. 정부가 응답하지 않는다면 투쟁 본부와의 논의를 통해 전국적인 집회도 불사할 것"이라고 강조해, 향후 약사회의 조직적이고 강력한 투쟁을 예고했다.
대한약사회와 한약사 간의 해묵은 갈등은 '면허 범위'와 '의약품 취급 권한'을 둘러싼 법적 모호성과 제도의 취지 훼손에서 비롯된다. 특히 한약사의 일반의약품 판매와 창고형 약국 개설이 국민 건강을 위협한다는 약사회의 주장이 투쟁 격상 배경의 핵심이다.
약사회는 한약사의 면허 범위가 한약과 한약제제로 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법 해석상 한약사가 일반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적 공백이 존재하며, 대한한약사회는 약국 개설자로서 판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최근 한약사들이 대형 '창고형 약국'을 개설하여 주로 일반의약품을 대량 유통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갈등이 증폭됐다. 약사회는 이는 복약지도를 소홀하게 만들어 약물 오남용 위험을 높이는 행위라고 비판한다.
대한약사회는 이 사태를 "정부가 30년간 방치한 문제"로 규정하며 보건복지부의 무책임한 태도를 비판하고 나선 상황이다.
약사회는 약사와 한약사의 면허 범위(직능)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한약사의 의약품 취급 범위를 한약 및 한약제제로 엄격히 제한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한약사가 일반의약품을 판매하고, 나아가 약사를 고용하여 전문의약품과 마약류까지 취급하는 '교차 고용' 등 면허 범위를 벗어난 불법 행위에 대한 정부의 즉각적인 단속과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근본적으로 한약사 제도의 본래 취지대로 한방분업을 조속히 시행하거나, 목적을 상실했다면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