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심부자극술, 인지기능 저하없이 발작 70% 감소

삼성서울병원 손영민 교수팀, DBS 목표 지점별 인지기능 비교 연구 진행

손영민 교수

뇌심부자극술(DBS)이 인지기능 저하 없이 발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기억과 인지의 핵심 뇌 구조를 자극하는 시술 특성상 그동안 제기돼 온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근거가 나온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손영민 교수 연구팀은 최근 국제 뇌전증 학술지'Epilepsia open, IF 2.9'를 통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

손 교수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 22명을 대상으로DBS(시상전핵 DBS 12명, 해마 DBS 10명)를 시행한 뒤 최소 18개월, 평균 약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인지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시상 전핵 DBS는 73.05%, 해마 DBS는 76.76%의 발작 감소율을 보였고, 기억력, 언어능력, 주의력, 실행기능 등 모든 인지영역에서 유의한 저하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뇌전증환자의 또 다른 걱정 중 하나인 우울감과 불안 지수도 악화되지 않았다. 이는 DBS 치료의 안정성과 더불어 치료 효과까지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인지기능 저하 우려 없이 환자의 뇌전증 특성에 따라 최적의 DBS 목표를 선택할 수 있고, 3년 이상의 장기 추적관찰로 안전성을 입증했다는 점은 평생 관리 치료옵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손영민 교수는 "기억과 인지의 핵심 구조를 자극하는데도 인지기능이 보존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제 환자들에게 더욱 자신 있게 DBS 치료를 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손 교수 연구팀은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다기관 연구를 추진하고, 질환 및 개인별 맞춤 자극 프로토콜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