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기능에 영향 주는 단백질, 천식 치료 '키'였다

p300 단백질, 조절 T세포 생성 촉진하며 면역반응 높여

면역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p300 단백질이 알레르기 천식 치료에서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확인됐다.

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천식센터 손명현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 분자생물학교실 윤호근 교수 공동 연구팀은 p300 단백질이 조절 T세포의 적절한 반응을 유도해 알레르기 천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17일 밝혔다.

알레르기 천식은 우리 몸이 외부 물질에 과도하게 면역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한다. 연구팀 설명에 따르면 p300 단백질이 GBP5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면서, 우리 몸에 있는 백혈구의 한 종류로 면역 시스템을 담당하는 T세포 중 과잉 면역반응을 않게 하는 '조절' T세포의 기능을 강화해 그 균형을 유지한다고 한다.

연구팀은 알레르기 천식을 앓으면서 p300 단백질이 결여된 마우스 모델을 통해 위와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해당 마우스 모델에서는 조절 T세포의 수뿐만 아니라 면역반응 억제기능도 낮았고, 다른 세포의 면역 기능을 돕는 '도움 T세포'의 활동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기도 염증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이어 연구팀은 그 과정을 더 면밀히 확인하려 염색질 면역침강(ChIP)과 RNA 시퀀싱 분석을 진행했다. 염색질 면역침강은 p300 단백질이 어떤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RNA 시퀀싱 분석은 영향 받은 세포 안에서 어떤 단백질이 커져 있는지를 보기 위함이다.

그 결과 p300 단백질이 바이러스나 세균 같은 외부 물질에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도움을 주는 GBP5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해 T세포의 증식과 억제, 기능 유지에 영향을 미침을 규명했다.

손명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p300 단백질이 GBP5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면서 결국 조절 T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쳐 천식 악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p300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알레르기 천식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방향성을 제시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호흡기중환자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IF 19.4)' 최신호에 실렸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