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 치료도 골든타임"… 두통학회, CGRP 억제제 급여 기준 완화 촉구
한일심포지엄 등 최신 지견 공유, '소아 편두통' 치료 중요성 재조명
'두통일기' 앱 리뉴얼 등 대국민 인식 개선 캠페인 지속적으로 펼쳐
국내 편두통 환자의 치료 접근성이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는 의료 현장의 비판 속에서 두통학회가 CGRP(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 억제제의 급여 기준을 국제 수준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며 정부에 공식적으로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학회는 소아·청소년 두통 증가와 편두통의 조기 치료 필요성을 강조하며, "현행 급여 기준은 환자들의 치료 골든타임을 늦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두통학회(회장 주민경)는 지난 16일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최신 연구 결과와 임상 경험을 토대로 소아·청소년 편두통의 진단 및 치료 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올해 학술대회는 총 177명이 참석해 6개 세션, 17개 연제가 발표되는 등 예년보다 높은 참여를 기록했다.
학회는 이날 학술대회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추계학술대회 및 한일심포지엄 성과 ▲학술상 및 공로상 시상 ▲대국민 질환 인식 캠페인 계획 등을 발표했다.
주민경 회장은 "소아 두통은 뇌 발달이 덜 된 상태라 성인과 증상 발현이 다르다"며 "복통이나 어지럼증 등 신체화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약물 치료뿐 아니라 생활 습관 교정과 인지 행동 치료 등 통합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GRP 억제제 급여 기준, 글로벌 추세 맞춰 완화해야"
이날 간담회에서는 편두통 예방 치료제인 'CGRP 억제제'의 까다로운 급여 기준이 도마 위에 올랐다. 현재 국내 급여 기준은 만성 편두통 환자가 기존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만 6개월 단위로 급여를 인정하며, 1년 투여 후에는 6개월간 약을 끊고(단약) 효과를 재평가해야 한다.
주 회장은 "우리나라 급여 기준은 영국 등 초기 기준을 따르고 있어 매우 엄격하다"며 "가장 시급한 것은 1년 투여 후 6개월인 단약 기간을 3개월로 줄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급여 대상이 아닌 '난치성 삽화편두통' 환자에게도 급여를 확대해야 한다"며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해 두통의 악화를 막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3개월 내 반응이 없으면 투여를 중단해야 하지만, 6개월까지 사용 후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기준 완화가 필요하다"며 "약물 교체(스위칭) 시에도 급여 적용이 유연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일심포지엄 등 최신 지견 공유... 대국민 캠페인도 강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일심포지엄'이 열려 한국과 일본의 CGRP 항체 치료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이 마련됐다. 또한 '편두통과 어지럼' 세션에서는 어지럼의 주요 원인으로서 편두통을 재조명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논의했다.
학회는 대국민 인식 개선을 위한 '2025 슬기로운 편두통 생활 시즌 2' 캠페인 계획도 발표했다. ▲두통일기 앱 리뉴얼 ▲라디오 캠페인 ▲유튜브 광고 등을 통해 편두통이 단순한 두통이 아닌 '질환'임을 알리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이태규 두통연구자상 및 HPR Award 시상식과 함께 제7회 두통이야기 공모전 당선자 발표도 진행됐다. 학회는 환우들을 위한 홈페이지 리뉴얼을 통해 환자와의 소통 창구를 더욱 넓혀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