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종사자 안전관리 위해 산업안전보건법령 개정 필요”

남인순 의원, 메르스 확진환자 21%…홍역 확진환자 9.6%가 의료기관 종사자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종사자 보호 및 안전관리 담당하는 보건관리자가 1명이 배치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송파구병)은 3월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을 대상으로 한 정책질의를 통해 “2015년 메르스 확산사태 때 확진환자 186명 중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기관 종사자가 21.0%인 39명에 달했으며, 지난해 12월 이후 홍역 집단발생에서 확진환자 83명 중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등 의료기관 종사자가 9.6%인 8명에 달하는 실정”이라며 “의료기관 종사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인순 의원은 “현재 의료기관 감염 및 환자 안전 등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가 총괄하지만, 의료기관 종사자 안전 등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고용노동부가 총괄하는 등 이원화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면서 “보건의료인에 대한 안전 확보는 환자 안전과 직결되어 있으며, 간호인력 확충 등 적정한 보건의료인력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위험의 외주화 방지를 비롯해 산업 현장의 안전규제를 대폭 강화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고용노동부 소관 법률이지만, 의료기관 종사자 안전과 관련해 질의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현행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7조에는 ‘보건관리자의 업무 등’이 규정되어 있고, [별표 5]에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할 사업장의 종류․규모, 보건관리자의 수 및 선임방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사업의 종류 중 보건업의 경우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5000명 미만’에 대해 보건관리자 1명 이상을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 의원은 “국내 의료기관 중 상시근로자가 5000명 이상인 의료기관은 드물 것이며, 보건관리자의 규정에 따르면, 대부분의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해 국내 의료기관에서 보건관리자는 1명을 두어도 법적인 문제가 없는데,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안전관리와 보호를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시는가”라며 “의료기관에서는 보건관리자와 감염관리자, 환자안전관리자 등을 동일인으로 정하여 역할을 함께 담당하도록 하고 있어, 업무량 과부하가 크고 제 역할을 다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고용노동부에서는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 후속입법을 추진할 전망인데,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안전관리와 보호를 위해 보건관리자 1명 이상을 두도록 하는 사업의 종류 규정을 ‘상시 근로자 50명 미만 5000명 미만’에서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500명 미만’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데, 이에 대한 보건복지부장관의 견해는 무엇이며, 고용노동부에 개선을 건의하실 의향은 어떠한가”라고 질의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임중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