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과대학 ‘의대정원 확대·공공의대 설립 강행 중단하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은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의대 정원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강행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코로나 19 사태가 완전회 종식된 이후 정부와 의료계가 원점부터 심도있는 공론화에 착수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대 의과대학은 26일 입장문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정책은 20~30년 뒤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보건의료발전계획 차원에서 신중하고 면밀하게 다뤄져야 한다"며 "지역간 의료격차, 필수 비인기 전공과목 인력부족 등 정부의 문제의식에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현재 추진되고 있는 것과 같은 비현실적인 대책으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을 뿐더러 강차 더 많은 문제를 창출하리라는 것이 공통된 인식"이라고 밝혔다.

이어 "불합리한 정책이 계획되고 추진되는 동안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한 의과대학 교수들의 책임을 통감한다"며 "의대생, 전공의에 대한 집단이기주의라는 비반이 있음을 무겁게 받아들이나 이들의 집단행동은 불합리한 의료정책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순수한 열정의 산물이라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의과대학생들이 불이익을 받게 된다면 스승인 교수들이 나설 것"이라며 "정당한 주장을 하는 제자들을 보호하는 것은 병원에서 진료를 하는 것이나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는 것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대 의과대학은 "의료계 파업과 의사국가고시 일정들을 고려할 때 9월초가 지나면 의정 대립은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게 된다"며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치제 될 결정적 기로를 앞에 두고 사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정부의 지혜로운 결단을 간절한 마음으로 촉구한다"고 밝혔다.


임중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