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환자 유독 남성에 많은 이유…음주와 '이것' 때문?

전체 환자 중 90% 이상이 남성, 예방책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 할 정도로 극심한 고통이 동반되는 퉁풍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2015~2019년)동안 건강보험가입자 중 통풍 환자 수는 2015년 33만8302명에서 2019년 45만9429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진료비 역시 2015년 6만6516백만 원에서 2019년 10만1626백만 원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9년 통풍 환자의 92.3%가 남성으로, 여성보다 12.1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수는 남성이 92.3%(42만4243명), 여성이 7.7%(3만5186명)로 나타났고,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2.2%(10만2003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성별로는 40대 남성(9만6465명)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50대 남성(9만4563명)이었다.

2019년 진료비는 1016억원이었고, 남성이 955억원, 여성이 6억원이었고,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24억3천8백만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성별로는 40대 남성(219억원)이 가장 많이 사용했고, 다음이 50대 남성(211억원)이었다.

10만 명당 통풍 진료인원, 남성 70대(2870명)에서 가장 높고, 여성 80대 이상(471명)에서 가장 높아
최근 5년 동안 10만 명당 환자 수는 2015년 670명에서 2019년 894명으로 33.4% 증가했으며, 남성은 34.6%, 여성은 22.2%가 증가했다.

2019년 10만 명당 통풍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남성 1645명, 여성 137명으로 남성이 12.0배 많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 현황을 보면 30대에서 남성(1931명)이 여성(67명)보다 28.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남.

최근 5년 동안 1인당 진료비는 2015년 19만7000원에서 2019년 22만1000원으로 12.5% 증가했으며, 남성은 12.1%, 여성은 15.4%가 증가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남성(26만7000원) 및 여성(30만3000원) 모두 80대 이상에서 가장 많은 진료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류마티스 내과 박진수 교수는 “통풍 환자 중 남성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발병의 원인이 되는 요산이 식습관 및 음주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고, 이에 상대적으로 음주가 잦은 남성에서 통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음주뿐 아니라 여성호르몬 역시 요산과 연관성이 있는데 여성호르몬은 요산 배설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어 여성의 요산 농도가 남성보다 낮게 유지된다”고 덧붙였다.

통풍의 발생 원인은 고요산혈증이다. 고요산혈증은 과다 생산과 요산 배설 감소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과다 생산은 흔히 알고 있는 음식, 음주로 인해 외부에서 많이 들어오는 경우와 내인성으로 생성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요산 배설 감소는 기저질환 및 기저질환으로 인해 복용하는 약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통풍의 주요 증상은 주로 하나의 관절에서 극심한 통증과 발적, 열감, 부종을 동반한 급성 통풍 관절염으로 첫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하지의 관절에 나타나지만 통풍의 유병이 길어질수록 손, 팔꿈치 등의 상지 관절에도 나타날 수 있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만성 결정 통풍관절염으로 진행하게 되며 관절의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신장에 요산이 침착될 경우 요로결석, 신병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고요산혈증의 원인이 되는 과다 생산을 막기 위해 요산을 높일 수 있는 음식(맥주를 비롯한 알코올, 내장, 액상과당이 첨가된 청량음료 등)을 피하며 체중을 관리한다. 배설 감소를 줄이기 위해 기저질환으로 복용하는 약 중 요산 배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은 가능하면 피한다. 급성 통풍 관절염이 발생했을 때에는 바로 병원을 찾아 소염제, 콜히친, 스테로이드 등을 몸에 맞게 처방받는다. 호전된 후에는 이후 재발을 막기 위해 주치의와 상의해 요산수치 저하제를 꾸준히 복용해 혈중 요산 농도를 낮춘다. 통풍은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 관리 질환이기에 지속적인 약 복용이 필수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