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들이 일생 동안 사용하는 치아는 저작 등의 기능 중에 마모가 되거나 외상에 의해 손상이 되기 마련이다.
심한 마모로 인해 시린 불편감이 있거나, 치아에 충격이 가해져 깨지거나 상실되었을 경우, 미흡한 구강위생 관리로 충치가 생겼다면 소위 금니, 크라운이라고 하는 치과 보철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방치 후 뿌리까지 손상되고 신경 오염, 세균번식들에 의한 잇몸뼈 소실로 발치가 불가피하다면 임플란트 식립, 틀니 제작까지 이어지는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임플란트 식립 전 최대한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보철치료를 고려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철치료는 치아 손상 정도에 따라 인레이, 크라운 등 적절한 치과보철물로 진행한다. 범위가 작아 수복물의 탈락가능성이 적은 경우는 레진이라는 치과재료로 소위 떼우게 되고, 깊고 넓게 퍼진 우식 및 파절로 인해 레진으로는 탈락, 파절 위험이 있을 때는 골드 혹은 세라믹, 레진과 세라믹의 혼합 컨셉인 하이브리드 인레이로 수복한다.
인레이로 수복하기 힘들 정도의 전반적인 치아 상실이 있으며 저작력을 견뎌낼 부위인 어금니라면 주로 크라운을 사용하는데, 신경관까지 오염되었다면 신경치료 후 씌우게 된다.
보철치료 후, 통증이나 시린증상들이 느껴지지 않아 해당 치아도 더 이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 오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계속되는 저작 기능과 습한 구강 환경으로 인해 보철물을 합착한 시멘트의 용해, 치아의 우식 재발로 인해 잘 맞던 치과보철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미세한 틈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그 사이로 세균 침입 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치과보철물도 탈락하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신경치료를 받은 상태라면 감각이 없어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2차 충치가 심각하게 진행된 뒤 발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치과보철물 또한 탈락, 파절될 때까지의 사용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필요 시에는 교체해줄 것을 권장한다. 더군다나 문제 없이 치아가 남아 있어야 새 치과보철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치과에서는 10년을 주기로 하여 치과보철물을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말하지만 개개인의 식습관이나 구강위생 관리 여부 등에 따라 교체주기가 다 다르기 때문에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밖에 없어 치과에서 지속적인 점검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치과보철물을 좀 더 오래 사용하고 싶다면 인상 채득부터 보철물 제작 과정까지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는 치과인지 살펴보면 좋다. 일명 '본 뜬다'고 하는 인상채득을 구강스캐너를 통해 채득함으로써 환자에게 기존의 전통적인 인상재 적용하는 시간과 불편감을 줄이게 된다.
또한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e) 시스템은 컴퓨터와 치과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보철물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보철물 완성도를 높이고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치과용 CAD/CAM 시스템은 혁신적이라 말할 만큼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점점 성능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추세로 더 세밀한 보철치료 계획을 수립함에도 도움이 된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