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건우병원 "무릎 뒤 통증이 있다면 '베이커낭종' 의심"

예방위해 관절에 부담주는 동작 삼가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무릎 질환은 무릎 앞쪽과 관련돼 있다. 대표적인 슬관절 질환인 관절염은 무릎 앞에 위치한 연골이 닳거나 취약해지면서 그 기능이 퇴행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십자인대파열 또한 무릎의 운동성을 만들어주는 인대가 끊어지거나 손상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병이다.

이와 달리 생소하지만, 무릎 뒤쪽에 문제가 생기면서 나타나는 병도 있다. '베이커 낭종'이라 불리는 이 병은 무릎 뒤쪽이 혹처럼 낭종이 부풀어 오르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 혹의 정체는 암세포 같은 것과는 거리가 멀다. 맑고 끈끈한 이 액체는 관절을 원활하게 움직이게 만드는 일종의 윤활유다. 관절액이 과도하게 분비되면서 비정상적으로 흐르고, 이 흐른 관절액이 무릎 뒤쪽에 고이면서 생기는 것이 베이커낭종이다.
 
베이커낭종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증세가 가볍다면 미관상 보기 안 좋을 뿐 별다른 통증도 없다. 하지만 물혹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주변 신경과 혈관을 압박하게 되고 통증도 발생할 수 있다.
 
베이커낭종은 환자 상태에 따라 대증치료가 시행된다. 병변의 사이즈가 작을 경우 관절내시경이, 클 경우 최소절개술이 주로 사용된다.
 
관절내시경은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내 가능해 수술 당일 걸을 수 있을 만큼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검사를 통해 연골판 손상과 같은 동반질환이 확인된다면 동시치료가 가능하다.
 
조승배<사진> 연세건우병원 무릎전담팀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낭종이 경미한 경우라면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혹이 손에 잡힐 정도로 커진다면 통증도 동반되기에 치료가 필요하다"면서 "불편하다고 혹을 계속 만지게 되면 낭종이 터질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염증에 따른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베이커낭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쪼그려 앉는 것과 같은 관절에 부담을 주는 동작을 되도록 삼가는 것이 좋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