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고추장? 고추 양념에 고춧가루 넣은 제품 많아

소비자 건강·맛 위해 국내산 고춧가루 사용하고 함량 높여야

시중에서 판매 중인 고추장이 고추 양념에만 고춧가루를 넣은 제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고추양념에 중국산 고춧가루와 혼합양념 분말 등의 사용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생활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고추장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해 찹쌀과 메주 등을 섞어 만드는 장류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양념이다. 하지만 전통양념이란 말이 무색하게 시판 중인 고추장 제품 대다수가 중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하고 있었고, 고추양념(고추다대기)을 제외한 고춧가루 함량은 3% 내외를 웃도는 수준이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고추장 내 고춧가루 함량 비율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한 이후, 개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근 고추장을 판매하는 '대상', 'CJ', '사조 해표', '샘표', '매일식품', '오복식품', '삼화식품', '진미식품', '신송식품'의 제품별 무작위로 선정하여 고춧가루 함량 비율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대부분 제품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고 오히려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양념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찾아보기는 거의 어려웠으며, 고추 양념을 제외한 고춧가루 역시 중국산을 사용하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만 들어간 고추장도 있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 대부분은 고추 양념 속 고춧가루 이외에 고춧가루를 아예 첨가하지 않거나 소량만 넣어서 만들다 보니 전통 고추장 대비 고춧가루 함량도 떨어질 뿐더러, 맛이나 질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다.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로만 제조된 고추장을 살펴보면, CJ('맛있게 매운 태양초 고추장', '맛있게 매운 태양초 참 좋은 고추장', '이츠웰 태양초 고추장'), 사조해표('순창궁 발효 숙성 태양초 골드 고추장', '순창궁 태양초 고추장', '옹가네 태양초 맛고추장'), 진미식품('태양초 고추장', '청매실 찰고추장', '찰맛고추장'), 신송식품('참맛 고추장', '진한 찰 태양초 고추장') 등이 있다. 고추양념과 혼합양념분을 이용했음에도 고춧가루 함량을 10% 넘기는 제품을 찾아볼 수 없으며 고추 양념 역시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다.

고춧가루가 첨가되지 않은 고추장 역시 많았다. '대상', 'CJ', '사조해표', '샘표', '진미식품', '신송식품'에서 판매 중인 제품들에서 총 15개의 제품(조사 제품 기준)이 고춧가루가 첨가되지 않았다. 또, 고추양념과 혼합양념 분말로만 제조된 고추장과 마찬가지로 국산 고추양념을 사용하는 경우를 찾기 힘들고, '샘표'의 '참진한 고추장', '소문난 맛집 고추장'과 'CJ'의 '찹쌀 태양초 고추장'을 제외하면 고춧가루 함량의 합계가 10%를 넘기는 제품이 없다.

문제는 대량으로 유통되는 업소용 고추장 내 고춧가루 함량이 너무 적다는 것이다. 업소용 고추장들은 대량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학교 급식, 식당 등에 유통되지만 고춧가루 함량이 10%가 넘는 제품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성분함량이나 원산지를 확인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업소에 판매되는 고추장들의 경우 소비자들이 정확한 성분함량이나 원산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소비자들은 선택권을 보장받지 못한 채 고춧가루 함량이 적더라도 섭취할 수밖에 없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측은 "고추장은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고 섭취하는 제품인 만큼, 제조사들은 고춧가루 함량을 15% 이상으로 높이고, 중국산이 아닌 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문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 역시 고추장 내 고춧가루 함량 비율을 최소 15% 이상으로 지정하는 등 규제 마련에 앞장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