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화장품 원료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화장품 사용제한 원료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식약처 고시)'을 30일 개정·고시했다고 밝혔다.
주요 개정 내용은 ▲염모제 성분 9종에 대한 관리강화(사용금지 7종, 사용 한도 기준 강화 2종) ▲사용제한 원료별 CAS 번호 제공 ▲신규 자외선 차단성분 1종 추가 등이다. CAS 번호는 화학구조나 조성이 확정된 화학물질에 부여된 고유번호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유럽·캐나다 등도 화장품 사용제한 원료에 병기하고 있다.
식약처는 염모제 성분 9종에 대한 위해평가 결과, 7종에 대해서는 유전독성을 배제할 수 없어 사용할 수 없는 원료로 지정하고, 2종은 유전독성 가능성은 없지만 과학적 근거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도 기준을 강화했다.
사용금지 성분 7종은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m-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황산 o-클로로-p-페닐렌디아민, 황산 2-아미노-5-니트로페놀 이다.
또 사용 한도 기준이 강화된 2종의 성분은 과붕산나트륨·과붕산나트륨일수화물(12.0%→7.0%)과 염산 2,4-디아미노페놀(0.5%→0.02%)이다.
사용금지 원료 7종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고시 개정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제조·수입할 수 없으며, 이미 제조·수입한 제품의 경우 고시 시행일로부터 2년까지만 판매할 수 있다.
식약처는 지난해부터 염모제 성분에 대한 위해평가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올해 2월에는 유전독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성분 5종(o-아미노페놀,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카테콜, 피로갈롤)을 화장품 사용금지 원료로 지정한 바 있다. 이번에 새로 7종이 사용금지 성분에 포함되면서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염모제 성분은 총 12종이 됐다.
또한 이번 개정 고시에서는 사용제한 원료별로 CAS 번호를 제공해 사용제한 원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롭게 기능성이 인정된 자외선 차단성분 1종('23.5.4. 공고)의 성분명과 사용기준을 고시에 반영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화장품에 안전성이 확보된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국민이 안전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mfds.go.kr)이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