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병원장 이지선) 소아작업치료실이 장애아동의 작업수행능력을 보강하기 위한 상지 보조기를 자체 제작한지 올해로 25주년을 맞이했다고 밝혔다.
2022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장애 소아·청소년(만 0세~18세 미만)은 약 8만7733명을 넘어선다. 출산율 저하에도 국내 장애아동 수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원인으로는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신생아 중환자 치료가 과거에 비해 크게 향상되고 조산아의 생존율이 높아진 점을 들 수 있다.
재활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증상은 다양하다. 보통은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거나 신체·정신·언어 발달상 어려움이 있어 병원을 찾는다. 특히, 소아작업치료는 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소근육 및 대근육 발달, 연하, 감각,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 시지각 등 기능에 대해 평가하고 작업수행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서울재활병원 소아작업치료실은 1999년부터 치료과정에서 장애아동의 기능 향상을 돕기 위한 상지 보조기를 작업치료사가 직접 현장에서 맞춤 제작하고 있다.
자체제작을 시행하게 된 계기는 장애아동의 경우 성장 속도가 빠르고 성인과 다르게 보조기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더 많다. 또 장애아동의 특성과 기능을 잘 파악하고 있는 작업치료사가 상지 보조기 제작 방향의 이해도가 높고 의료현장에서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자체 제작되는 상지 보조기는 ▲손 및 체간의 바른 정렬을 통해 관절구축 예방 ▲관절에 안정성을 제공하여 손의 바른 움직임 학습 ▲일상생활에서 도구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도움을 준다.
주로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 아동에게 적용하며, 아동의 기능과 목적에 따라 형태나 재질이 다를 수 있다. 가장 대중적인 재료인 열가소성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연질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실리콘 형태의 유연한 보조기를 제작하여 영유아에게도 적용하고 있다.
서울재활병원 이지선 병원장은 "상지 보조기 제작은 작업치료사가 중재할 수 있는 특수한 영역으로 전문적으로 제작 기술을 훈련한 치료사를 중심으로 제작하고 있다"며, "의료현장 안에서 장애아동의 기능 향상과 삶의 질을 위해 지속해서 연구하고 적용하는 병원이 되겠다"고 전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