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폴 투약 급증과 오남용 문제로 보건당국에서 사용을 규제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 의원들이 기초 안전장비도 없이 프로포폴을 사용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김승희 의원은 이 같은 문제를 비판하면서, 환자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프로포폴을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3년 동안 프로포폴 유통량은 12.8% 증가했고, 종별로는 전체 프로포폴 유통량 2325만 2269개 중 의원급이 1077만 3869개(46.3%)로 가장 많았다.
의원급 의료기관 중 프로포폴 사용이 많은 진료과는 일반의(210만 5198개), 내과(205만 3522개), 성형외과(78만 863개)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프로포폴 유통 의원급 의료기관 중 일반의 96.4%(1262개소), 내과 95.6%(1497개소), 성형외과 95.9%(499개소)가 기초 안전장비인 인공호흡기와 제세동기 등을 갖추지 않았다는 것.
또한 의원급 의료기관 대다수가 마취과 전문의 없이 프로포폴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마저도 제대로된 현황파악도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급 의료기관의 경우에는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없는 곳이 946개(51.5%)였고, 종합병원의 경우에도 4곳(1.5%)이 마취과가 상주하지 않았다.
이에 김 의원은 "프로포폴 주사제를 수술, 마취 등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게끔 유도해야 하며 환자 안전을 위해 사용상 주의사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력, 시설, 장비 등의 기본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프로포폴을 사용하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등 환자안전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의료기기 장비를 구비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