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청년 절반 이상이 '과음'

성균관대 이성림 교수팀, 성인 5000여명 조사

1인가구로 생활하는 청년과 중년은 다인(多人)가구에 속한 같은 연령대에 비해 흡연·과음 비율이 높고 수면시간이 비정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성균관대 소비자가족학과 이성림 교수팀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20세 이상 성인 남녀 5215(1인가구 488, 다인가구 4727)의 가구 형태별 음주흡연 비율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 1인가구로 지내는 청년(2030)의 절반 가까이(48.1%)가 흡연 하고 비흡연과 금연의 비율은 각각 36.4%15.6%였다. 이는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이 비흡연(61.9%)·흡연(24.7%)·금연(13.5%) 순서인 것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다. 1인가구로 사는 4050대 중년의 흡연 비율(33.3%)은 다인가구에 속한 중년의 흡연 비율(19.8%)보다 1.7배 가량 높았다. 이 연구에선 한 번도 담배를 피운 적이 없으면 비흡연’, 과거엔 담배를 피웠으나 현재 피우지 않으면 금연현재 가끔이라도 담배를 피우면 흡연으로 분류했다.

1인가구로 생활하는 청년의 과음 비율은 전체의 절반을 넘었지만(57.1%)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의 과음 비율은 절반에 못 미쳤다(47.7%). 1인가구로 지내는 중년은 과음 비율(39.9%)이 절주·금주 비율보다 높았지만 다인가구에 속한 중년에선 절주 비율이 36.9%로 가장 높았다.

최근 1년간 술을 전혀 마시지 않았으면 비음주’, 남성이 평소 4잔 이하의 음주를 월 24회 이하 하거나 여성이 평소 12잔 이하의 음주를 월 24회 이하 하면 절주’, 남성이 평소 56잔 이상의 음주를 주 23회 이상 하거나 여성이 평소 34잔 이상의 음주를 주 23회 이상 하면 과음으로 간주됐다.

가구구성원의 수는 수면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1인가구로 사는 청년은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51.9%)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은 수면시간의 정상 비율(54.1%)이 더 많았다.

1인가구로 사는 중년과 노년은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이 각각 61.6%·71%에 달했다. 다인가구에 속한 중·노년에 비해 수면시간이 비정상일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수면시간이 하루 7시간 이상8시간 이하이면 정상’, 수면시간이 이보다 짧거나 길면 비정상으로 분류했다.

운동과 담을 쌓고 지내는 등 신체적 비()활동 비율은 독거노인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1인가구로 사는 노인의 신체적 비활동 비율은 62.6%, 가족의 보살핌을 받는 노인의 신체적 비활동 비율(57%)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비활동이란 주 3일 이상, 하루 20분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거나, 5일 이상, 하루 20분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등 최소한의 활동도 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결과는 1인가구로 사는 청년은 22.1%가 건강 활동을 해,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의 건강활동 비율(16.4%)보다 오히려 높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1인가구로 생활하는 사람은 다인가구에 속한 비슷한 연령대에 비해 건강관리에 소홀한 편이고 전반적으로 신체활동 수준도 낮았다고 지적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