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학술대회 임상사례] 뒷목 뻣뻣 목디스크 서금요법으로 완화

서암PEM·금추봉·아큐빔·기마크봉 자극 효과

김영자·한길숙·전향아 학술위원

▷지난호에 이어
2)목과 상응부위
①경추(頸椎))와 승모근건(僧帽筋腱)의 부위
②독금경과 목 상응부위
3. 삼일체형에 의한 치방
1)양실증
①장부허승의 구조
·승증 : 간, 심, 심포, 대장, 위장, 방광
·허증 : 비, 폐, 신, 담, 소장, 삼초
②음증, 양증의 구별
·음증 : 촌구 > 부돌 - 간, 심, 심포승 / 비, 폐, 신허
·양증 : 촌구 < 부돌 - 위장, 대장, 방광승 / 소장, 삼초허
③증상 : 어깨꼭대기 통증동반, 팔꿈치를 타고 내려오는 통증
④치방 : 경추상응부, 대장승방, 간승방
2)음실증
①좌우 음실증 : 복부비만이 심하면서 압통과민(CF19)이 있을 때나 압통과민이 없을 때도 음실증이다.
- 장부허승의 구조
·승증 : 비, 폐, 심, 심포, 담, (대장), 방광
·허증 : 간, 신, 소장, 삼초, 위, 대장
- 음증, 양증의 구별       
·음증 : 촌구 > 부돌 - 심, 심포승, 비, 폐  / 간, 신허
·양증 : 촌구 < 부돌 - 담, 방광, (대장)승 / 삼초, 소장, 대장, 위허
②좌측, 우측에서만 음실증을 자극한다 
③증상 : 어깨 뒤쪽으로 통증이 내려오면서 간혹 옆구리까지 통증
④치방 : 경추 상응부, 담승방, 방광승방
3)신실증
①좌우 신실증 체형
과민대, 긴장대가 ①과 같이 배꼽아래에 적게 있으면 가벼운 상태이고 ②까지 커져 있으면 악화된 상태 ③처럼 긴장대 적(딱딱하게 뭉친 것)이 크면 신실증이 심한 상태이다.
위장부위까지 올라가 있으면 난치성이고 명치 아래까지 올라가 있어도 역시 난치성, 고질적 질환이다. ④, ⑤처럼 심하면 좌우 신실증 체형으로 구별한다.
- 승증 장부 : 신, 간, 폐, 삼초, 소장, 위장
- 허증 장부 : 심, 심포, 비, 방광, 대장, 담
②신실증에서 양증·음증일 때
- 양증 ( 부돌 > 촌구 ) : 삼초, 위장, 소장승 // 대장, 방광, 담허증 
- 음증 ( 부돌 < 촌구 ) : 신, 간, 폐승 / 심, 심포, 비허증

 

 

 

③좌양실증·우 신실증(북합체형일 때가 많다)
좌측에서는 양실증, 우측에서는 신실증으로 자극한다.
④증상 : 앞머리부터 심한 편두통을 동반한 어깨 결림이 심하고 손저림
⑤치방 : 경추 상응부, 소장승방, 간승방                                 
▶ 그 외 목 상응부위 자극방법
①뒷목이 당기고 경추가 아플 때 자극
②목을 좌우로 굽혔을 때의 근육통증 시
③좌우의 대각선운동으로 근육통증이 있을 때
④목을 360도로 회전할 때 통증 시 자극
<다음호에 계속>


보건신문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