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공의로 재직중인 경력 의사들의 평균연봉이 대학을 갓 졸업하고 대기업에 입사한 일반 직장인들의 초임보다도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의사포탈사이트 아임닥터(www.iamdoctor.com)가 사이트 내 연봉정보 검색에 등록한 2~4년차 전공의 연봉 평균과 30대 그룹 계열사 대졸 초임 상위 100개 기업 연봉을 비교한 결과 드러났다. 아임닥터 연봉정보 검색서비스(I'mdoctor Payopen) 연봉정보에 따르면 2~4년차 전공의 28명의 연봉을 종합한 결과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전공의는 서울에서 근무하는 일반외과 4년차 전공의(4,800만원)이였으며 가장 적은 연봉을 받는 전공의는 인천에서 치과 전공의로 근무하고 있는 3년차 전공의(2,000만원)였다. 반면 30대그룹 계열사 대졸 초임 상위 100개사 평균 초임연봉의 경우 3,1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가장 높은 초임연봉의 경우 G사 3,600만원, 가장 적은 연봉을 주는 기업도 2,9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아임닥터 관계자는 “이 같은 결과는 2년에서 4년까지 전문직인 의사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일반 기업 대학졸업자 초임보다도 못한 연봉을 받고 있는 현 의사 수련 체제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근무조건을 고려했을 때 과중한 업무량 및 스트레스, 과다 근무 등 전공의 근무여건이 현재 일반기업 대졸 신입사원들의 근무여건에 비해 과다한 것을 고려했을 때 개선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대한전공의협의회 조사에 따르면 전공의 근무시간이 통상 100시간에서 120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에 반해 대기업의 경우에는 주 40시간 근무하며 시간외 근무에 대해서도 수당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대한전공의협의회 김주경 사무총장은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전공의의 활동가치 자체가 저평가돼 있는 상황이며 이는 병원측의 일방적인 문제라기보다는 국가 의료정책의 미비로 발생한 문제"라고 전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