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펫푸드 무역수지 적자 1조원 넘어

정운천 의원 "제조업체에 대한 수출 관련 예산 전무"

반려동물 양육 가구의 증가로 국내 펫푸드 시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유럽산 등 수입산 사료의 비중이 시장의 65.3%를 선점하고 있음에도 정부 예산은 전무(全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운천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의 비중은 전체 가구의 26.4%(591만가구)로 반려동물 인구가 약 1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사료 무역수지 적자는 최근 5년 동안 92000만달러로 한화 1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 사료는 67천만 달러로 한화 약 7818억여원, 고양이 사료는 25000만달러로 한화 약 2917억여원 규모의 무역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세계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3조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시장규모를 연도별로 보면 201518990억원 201621450억 원 201723320억원 201826510억원 2019310억원으로, 최근 5년 사이 1조 원 이상 증가했으며, 국내 펫푸드 시장규모를 연도별로 보면 20157348억원 20168439억원, 20179753억원, 20181709억원 201911914억원으로 연평균 10.1% 증가했다.

그러나 펫푸드가 사료관리법에 따라 양축용 사료와 동일하게 관리되면서, 다양화·고급화되고 있는 펫푸드 소비트랜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움은 물론 관련 통계가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펫푸드 구입 시 중요도소비자 인식조사에서 안전성 18.7% 영양성분 17.9% 가격 15.2% 기능성 12.5% 브랜드 12.4%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펫푸드는 습식, 처방식 등 고품질·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수입산과 달리 건조사료 등 저가제품 위주로 공급되면서 국산제품은 품질이 낮다는 인식이 존재한다.

정운천 의원은 지난 5년간 반려동물 사료 무역수지 적자는 92000만달러, 한화 1조원 이상으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며 소비자에게 국산 사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함과 동시에 기존 시장과는 차별화되는 펫푸드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단체는 현재 펫푸드에 대한 기준 등급과 등급체계가 미흡해 세부 정보의 확인검증이 어렵고 과장 광고가 빈발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다. 반면 관련업계에서는 산업 발전을 위해서 펫푸드에 특화된 관리 기준 마련과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펫푸드산업 활성화와 관련법 정비를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달에 완료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2019년 연말 유망식품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을 마련하면서, 올해 사업 집행을 위한 예산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못했고, 2021년 정부 예산안에도 관련 예산이 누락됐다.

정운천 의원은 향후 농식품부는 이런 막대한 무역수지 적자를 방치해 두면 안된다기존 사료 시장과 차별화되는 펫푸드 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정부의 지원을 아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세계 반려동물 연관산업 트랜드에 발맞춘 펫푸드 산업 육성을 위해 펫푸드 원료가공표시기준을 마련하고 펫푸드관리법제정 등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