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점은 뭘까?

날짜표시, 식품 품질과 안전을 위해 꼭 알아둬야

날씨가 무더워지면서 식품의 부패·변질에 따른 위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품에 표시된 보관기준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식품의 중요 정보인 날짜표시에 대해 소비자가 정확히 알고 식품을 구매보관할 수 있도록 날짜표시의 의미와 섭취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식품에는 제품명제조자원재료날짜표시 등 주요 사항들을 표시해야 한다. 날짜표시에는 제조일자, 유통기한, 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 등이 있다.

날짜표시는 해당 제품의 판매와 섭취가 가능한 기한을 과학적으로 설정한 것으로 식품의 품질과 안전을 위해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하는 정보다.

식약처는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섭취하기 위해서는 날짜표시의 종류설정방법 확인방법 날짜표시에 따른 섭취방법 보관 시 주의사항 등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날짜표시는 어떤 것들이 있나?

식품 날짜표시의 종류에는 제조일자, 유통기한, 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이 있고 제품의 특성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제조일자는 일반적으로 제조가공이 끝난 시점으로 장기간 보관하여도 부패변질 우려가 낮은 설탕소금소주빙과 등의 식품에 표시하고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으로 대부분의 식품에 적용하고 있다.

품질유지기한은 제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으로 장기간 보관하는 당류장류절임류 등에 적용하며 소비기한은 표시된 조건에서 보관하면 소비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간으로 영국, 일본, 호주 등 해외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표시제도다.

날짜표시는 어떻게 설정하나?

유통 및 소비기한은 제조업자가 제품의 특성과 유통과정을 고려해 관능검사, 미생물이화학물리적 지표 측정 등 과학적인 설정 실험을 통해 제품 유통 중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간으로 설정한다.

유통기한은 식품의 품질 변화시점을 기준으로 60~70% 정도 앞선 기간으로 설정하고, 소비기한은 80~90% 앞선 수준에서 설정하므로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의 기간이 보다 길다.

날짜표시를 확인하는 방법은?

날짜표시는 제품의 정보표시면(주로 뒷면)유통기한 : 20211231일까지처럼 표시된 날짜를 확인하거나 유통기한 : 전면 상단’, ‘제조일자 : 하단 별도표기등의 안내에 따라 해당 날짜가 표시된 위치에서 확인한다.

날짜표시 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나?

유통기한은 과학적 설정실험을 통해 측정한 식품의 품질 변화시점보다 짧게 설정하므로, 보관기준이 잘 지켜지고 기간이 조금 초과한 것이라면 품질변화는 없다.

특히 품질유지기한 표시 대상 식품의 경우 장기간 보관해도 급격한 품질변화나 변질의 우려가 없어 기간을 초과해 섭취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소비기한이 초과한 식품은 섭취해서는 안되며, 모든 날짜 표시는 가급적 기한을 준수하는 것이 좋다.

날짜표시에 따른 보관 시 주의사항은?

식품을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 내에 제품의 특성에 맞게 설정된 보관기준(냉장냉동실온)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특히 냉장제품의 경우 0~10온도 기준을 벗어났거나 제품이 개봉된 채로 보관됐다면 해당 기간까지 제품이 안전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