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의 2019년 기대 수명은 83.3세로 9년 전인 2010년의 기대 수명인 80.2세에 비해 3.1세나 늘어났다. 기대 수명이 점점 늘어나면서 '얼마나 오래 사느냐'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사느냐'가 중요해졌다.
특히 무릎관절은 통증이 심하고 움직임이 힘들어 일상생활조차 어려워지기 때문에 무릎건강은 고령사회에서 삶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인천힘찬종합병원 정형외과 안치훈 과장의 도움말로 무릎관절염을 앞당기는 반월상 연골 손상과 이미 진행된 말기 무릎관절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연골은 재생 어려워 손상 시 자칫 관절염 앞당겨
연골은 무릎으로 가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쿠션 역할을 하지만 혈관이 없어 스스로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한번 다치면 회복이 되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때문에 연골이 일단 손상되면 조기에 관절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허벅지뼈(대퇴골)와 정강이뼈(경골) 사이에 있는 C자 형태의 반달 모양 연골인 반월상 연골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섬유연골성 조직이다.
젊은 층은 대부분 격렬한 운동 등 부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반면 중장년층에 접어들면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작은 충격은 물론 특별한 외상이 없이 오랜 시간 반복된 체중 부하로 인해 연골판 내부부터 미세한 파열이 반복되다가 완전히 찢어지기도 한다. 운동 중 갑자기 방향을 전환하면서 무릎이 정상적이지 않은 방향으로 갑자기 꺾여 돌아가거나 낙상이나 교통사고 등 외부의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무릎에 체중이 과도하게 실리는 경우에도 찢어질 수 있다.
반월상 연골이 손상되면 무릎이 뻣뻣하거나 무릎에서 힘이 맥없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 또 계단을 오르내릴 때, 쪼그려 앉았다 일어날 때, 갑자기 방향을 돌릴 때 무릎이 턱하고 걸리는 느낌이 들면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된 것은 아닌지 한 번쯤 의심해 보아야 한다. 간혹 통증이 생겨 움직일 수 없거나 무릎이 곧게 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붓는다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면 완충작용을 못 하기 때문에 허벅지뼈와 정강이뼈끼리 부딪치는 압력과 빈도가 훨씬 증가하게 되어 뼈를 덮고 있는 뼈 연골까지 손상을 받고 마모를 가속화시키게 된다. 이처럼 반월상 연골 파열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지는 지름길인 셈이다.
인천힘찬종합병원 정형외과 안치훈 과장은 "중장년층의 반월상 연골 손상은 퇴행성 관절염의 바로 전 단계로 볼 수 있어 조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이른 퇴행성 관절염이 올 수 있다"며 "반월상 연골 손상 시에는 대부분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봉합하거나 부분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 후에는 무릎으로 가는 부담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해 허벅지근력을 키워주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인공관절수술 받아야 한다면 재수술하지 않는 것이 최선
무릎 관절염은 무릎관절 뼈를 덮고 있는 연골이 닳으면서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연골이 이미 닳아 없어져 뼈끼리 부딪치는 말기 무릎 관절염은 손상된 뼈를 깎아내고 그 자리에 인체친화적인 소재의 인공관절을 삽입해 통증을 줄이고 잘 걸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인공관절수술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치료법이다. 이때 인공관절도 수명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인공관절수술은 재수술이 까다롭기 때문에 수술법이나 수술 후 관리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공관절의 수명이 보통 15~20년인 점을 감안하면 재수술을 하게 되는 나이는 보통 80세 이상인 경우가 많아 만성질환도 심해지고, 전신 건강상태가 첫 수술을 받았을 때에 비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재수술을 할 때 첫 수술 시 넣었던 인공관절 삽입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때 인공관절에 단단히 붙어 있던 뼈까지 같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수술 난도가 크게 높아진다.
게다가 첫 수술 시 근육을 비롯한 연부조직의 손상이 이미 일어났던 부위에 재차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수술 후 관절이 완전히 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구축상태나 반대로 무릎이 반대 방향으로 심하게 꺾이는 이완상태가 발생할 위험도 따른다.
안치훈 과장은 "인공관절의 수명을 늘려 재수술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인공관절의 소재뿐만 아니라 수술기술 또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로봇시스템 등 다양한 수술기술이 수술의 정확성을 높여 인공관절의 수명을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인공관절수술 후에는 무릎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피하고, 허벅지근력을 강화하는 스트레칭으로 인공연골의 마모를 최대한 줄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