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재택치료 의사 52% "원격의료 긍정적"…재확산 대응

서울시의사회, 서울형 재택치료 백서 발"운영위 백업과 지자체 시스템 덕분"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 중이던 시기 서울형 재택치료에 참여한 의사들의 52%는 원격의료(비대면 진료)에 대한 관점이 긍정적인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의사회는 전열을 가다듬어 코로나19 확진자가 현재 4만명 이상 속출하고 있는 만큼, 재확산에 대응할 방침이다. 

서울시의사회(회장 박명하)는 지난 14일 서울시 영등포구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코로나19재택치료관리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활동보고서(백서) 발간식을 갖고 사업 성과와 발전 방향을 밝혔다.

서울시의사회가 주도한 이번 사업은 지난 1월 21일 구로구의사회를 시작으로 13개 의사회에서 171개 의원이 참여했다.

지난 5일까지 의원급 서울형 모델로 모니터링 받은 코로나19 재택치료 환자는 46만3170명이다. 노원구가 18만4086명으로 가장 많았다. 중랑구 5만8494명, 구로구 4만206명 순이었다. 강북구(3만9810명), 서초구(3만9414명), 동대문구(3만8100명)도 3만명을 넘었다.

이번 서울형 재택치료를 경험한 의사들은 발전을 위한 과제로 당직 등 규제 개선, 청구 등 행정업무 간소화, 적정한 수가 보장 등을 주문했다.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수십만 명의 일일 확진자가 발생하던 위기를 넘기고 소강상태지만, 곧 재확산 피크가 올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다"며 "이에 그간의 재택치료 상황을 되돌아보고 앞으로를 대비하기 위해 백서를 발간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형의 성공으로 코로나19에 있어서도 의원급의 역량을 과시할 수 있게 됐고 이는 전국적인 동네의원의 신속항원검사와 전화상담 및 처방 그리고 대면진료까지 이어졌다"며 "보건소에 대한 인식 변화로 향후 지역사회의 역할과 존재의미도 다시 한 번 느끼게 됐다"고 전했다.

사업에 참여한 13개구 의사회도 지자체·보건소와 협력하고 환자 중심 진료를 실천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강북구의사회 장성광 회장은 "병원급 재택치료가 행정 위주로 돌아간 반면 의원급 서울형에서는 환자와 지자체, 보건소가 협력하고 의원 원장들이 직접 참여하면서 환자 위주 실질적인 재택치료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종로구의사회 박종환 회장은 "언제 이렇게 환자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받아본 적이 있었나, 오히려 환자에게 감사했다"면서 "독거노인, 기초수급자 등 소외계층의 건강은 물론 마음을 돌본 것이 가장 큰 일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특히 13개구 회장단은 지역사회에 넓게 분포한 의원급 의료기관이 감염병 상황에서 밀접하게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을 이 모델의 장점으로 꼽았다.

참여 의료기관 35.2%가 이번 사업으로 보건소에 대한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대답했다. 46.7%는 이전보다 더 긍정적으로 보게 됐다고 응답했다. 앞으로 서울시의사회 주도 대민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비율은 95%에 달했다.

다만, 의원급 주도 재택치료가 더 활성화되려면 환자와의 소통이나 당직 문제가 해결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여 의료기관 24.1%가 재택치료 환자와 통화가 되지 않는 등 소통 문제로 어려움이 컸다고 대답했다. 그 뒤가 휴일이나 심야 시간 당직(22.4%), 시스템 호환 불가로 인한 행정 업무 부담(22.0%) 순이었다. 상태가 악화된 환자 대처가 어려웠다는 응답은 12.2%였다. 환자 민원(5.3%)이나 보건소의 비협조적인 태도, 무리한 요구(2.9%)로 어려움을 겪었다는 응답도 나왔다.

사업 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당직 관련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22.4%로 가장 많았다. 행정 업무 간소화가 18.8%로 그 뒤를 이었다. 

환자와 통화가 되지 않을 때 대처법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18.5%였다. 단골 환자를 우선 배정(14.3%)하거나 병원보다 의원급에 우선 배정(12.8%)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수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8.1%였다.

서울시의사회 이세라 부회장은 백서발간설명을 진행하며 서울형 재택치료로 지난 6일까지 총 46만 명의 확진자를 모니터링 했다고 밝혔다. 또 이를 근거로 정부가 코로나19 발생 초기 활용 가능한 의료인력을 적재적소에 활용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코로나19 확진자 기록 및 통계를 마련해 의료계가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문제는 민간과 공공이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공무원은 기준·규정을 강조하고 의사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서울형 재택치료는 국가 위기상황에서 좋은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코로나19로 환자가 중증이 되면 의사나 의료기관이 책임을 질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 본회 역시 정부와 협조하는 자세와 조직을 탄탄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명하 회장도 "서울형 재택치료는 오는 31일 확진자까지 배정받고 8월 초 종료된다. 이 모델의 의의는 의원급이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갖추게 된 것"이라며 "다만 특정 구만 이 같은 경험을 쌓은 만큼 향후 코로나19 재유행 및 다른 감염병 상황에 대비해 이를 모든 구에 공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