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이 직원들의 인권 증진을 위해서 노력해 금년도 인권영향평가지표 달성률에서 '매우 우수'한 기관으로 평가받았다.
이 같은 결과는 연구원이 최근 외부전문기관에 의뢰해 수행한 2022년 인권영향평가에서 나타났다. 평가 결과, 지표 달성률이 기관운영분야는 96.54%(전년 91.87%), 사업분야(농업관측, FTA, 국제농업개발, 삶의질)는 98.61%(전년 96.30%)를 기록해 2020년부터 지표달성률이 꾸준히 향상되어 인경경영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평가했다.
인권영향평가는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라 국가인권위원회의 매뉴얼을 토대로 경영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잠재적 인권리스크를 파악해 개선하고자 2018년부터 공공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평가다.
연구원은 정부 방침에 따라 2018년에 인권경영 이행지침을 만들고 인권경영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인권경영 추진체계를 구축했으며, 매년 인권경영의 내실화를 위해 인권 관련 교육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인권경영 문화를 고도화하고자 연구원의 인권경영지수 개발과 인권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를 했고,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제절차도 개선해 인권을 바탕으로 한 ESG경영 실천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연구원은 인권경영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제시한 인권경영 실천기(2019∼2021)를 지나 올해부터 2024년까지 확산기로 정하고, 이에 맞춰 인권경영을 고도화해 지속가능경영의 토대를 더욱 확고하게 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연구원은 향후 모니터링과 환류체계 보강 등을 통해 인권경영의 선도기관으로 발전해 갈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