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후 정상회복 예측하는 혈액 바이오마커 규명

서울성모병원 윤준성 교수팀, 목표체온치료 받은 혼수상태 100여명 환자 분석

최근 심폐소생술의 활성화와 심정지 후 신경과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목표체온조절 치료'가 확대 되면서 심장 기능이 정지된 환자의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의료진이 혼수상태인 환자가 다시 정상으로 깨어날 수 있을지 진단하는 것은 여전히 매우 어렵다.

이러한 가운데, 환자의 혈액 속 새로운 바이어마커를 이용해 회복 경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 (교신저자)·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 환(제1저자) 교수 연구팀은 병원 밖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혈청 표지자의 임상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2018년 8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충남대병원 응급실에서 병원 밖 심정지 후 목표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100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됐으며, 바이오마커의 예후 예측력을 측정하기 위해, 입원당시,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각각 혈액을 수집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타우 단백질, 미세신경섬유경쇄 단백질, 신경교섬유질산성 단백질, UCH-L1 효소를 측정했으며, 이후 전통적인 바이오마커인 혈청표지자 NSE와 비교했다.

이 결과 새로운 혈청 바이오마커의 곡선 아래 면적은 심정지 후 72시간에 가장 높았다. 심정지 후 72시간의 NFL은 100% 특이성을 유지하면서 나쁜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는 데 가장 높은 민감도(77.1%)를 가졌다.

즉 새로운 바이오마커들로 병원 밖 심정지 후 목표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할 수 있었고, 특히 심정지 후 72시간째에 예후 예측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윤준성 교수는 "나쁘고 좋은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고 증명된 만큼 향후 임상현장에서 적용된다면, 의료진들이 정상 회복될 환자를 빠르게 선별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로 이어져 더 많은 혼수상태의 환자가 의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송환 교수는 "심정지 환자의 예후 예측은 갑작스런 사고로 불안에 빠져있을 보호자들이 진료의 방향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바이오마커는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도구로 이번 연구를 통해 그 임상적 가치가 인정된다면 의료진들과 보호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