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충돌증후군 수술, 비수술적 치료 효과 없다면 고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 "초기 적절한 대처 필요"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난 후에 갑자기 나타난 어깨통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근육 문제로 발생한 통증은 안정 및 약물 복용 등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어깨에서 걸리는 느낌 등의 이상 증세도 함께 느껴진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어깨 관절에는 어깨를 덮고 있는 견봉이라 불리는 구조물이 있다. 이 견봉과 위팔뼈(상완골) 간격이 좁아지면 팔을 움직일 때마다 이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 질환을 어깨충돌증후군이라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은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관절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며, 중장년층을 넘어갈수록 퇴행성변화가 원인이 돼 발병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렇듯 어깨충돌증후군은 퇴행성 변화 및 어깨관절의 불안정성, 과도한 운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할 수 있으며, 조직의 충돌 위치나 형태에 따라 견봉하 충돌, 오구충돌, 내적충돌 증후군으로 나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인의 경우 대부분 견봉하 충돌(견봉과 상완골 대결절 사이의 충돌)로 발생되는 편이다. 어깨충돌증후군 환자는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돌릴 때 통증과 함께 어깨에서 무엇인가 걸리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질환 초기에는 증상이 가벼운 편이라 치료를 하지 않고 계속 방치하는 경우도 많지만 질환이 악화될수록 통증 및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또한 중증의 어깨충돌증후군은 회전근개파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에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홍겸 원장은 "어깨충돌증후군 환자는 대부분 운동치료, 주사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이 나타난다. 그렇지만 수개월간의 비수술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고, 심한 어깨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렵다면 수술적 치료도 고려된다. 수술적 치료는 발병 원인에 따라 견봉하 감압술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게 된다"고 전했다.
 


민정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