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환자가 최근 5년간 30%가끼이 증가한 가운데 흡연 등 위험인자 노출이 많은 60대 이상이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폐암'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8년 9만1192명에서 2022년 11만6428명으로 2만5236명(27.7%↑)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6.3%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2년 7만564명으로 2018년 5만7595명 대비 22.5%(12,969명↑), 여성은 2022년 4만5864명으로 2018년 3만3597명 대비 36.5%(1만2267명↑) 증가했다.
2022년 기준 '폐암'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1만6428명) 중 70대가 34.0%(3만9541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32.2%(3만7516명), 80대 이상이 17.8%(2만704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7.3%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31.1%, 80대 이상이 18.8%를 차지했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33.9%, 70대가 28.8%, 80대 이상이 16.2%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이상철 교수는 "암 발생 원인의 70% 이상은 흡연, 고지방 식이, 음주, 발암 물질 노출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과 생활 습관이 차지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이러한 위험인자에 대한 노출량이 증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고령화에 따라 노인 인구가 점차 늘어나는 것도 노인 환자에서의 암발생률이 높아지는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폐암'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2년 226명으로 2018년 179명 대비 26.3%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8년 225명에서 2022년 274명(21.8%)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18년 132명에서 2022년 179명(35.6%)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폐암'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1096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대 이상이 1818명으로 가장 많고, 70대가 1591명, 60대가 622명 순이며 여성은 70대가 676명으로 가장 많고, 80대 이상이 562명, 60대가 418명 순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8년 9150억원에서 2022년 1조2799억원으로 2018년 대비 39.9%(3,648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8.8%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성별 '폐암'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33.9%(4343억원)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33.4%(4274억원), 80대 이상이 14.4%(1843억원)순 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36.8%(3008억원), 여성은 60대가 33.8%(1565억원)로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8년 1003만원에서 2022년 1099만원으로 9.6% 증가했다.
남성은 2018년 1016만원에서 2022년 1158만원으로 13.9%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8년 982만원에서 2022년 1010만원으로 2.8%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131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가 각각 1364만원, 1274만 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