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요건 미충족 시 빅파마와 거래 배제 우려

제약바이오협 "국내 제약바이오 ESG 규제 취약 인식 부족"... 공급망 확보 위한 ESG 요건 강화

국내 제약기업들의 ESG 수출규제 인식 및 대응 수준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ESG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빅파마와의 거래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최근 발간한 'KPBMA FOCUS'에 따르면 미국, EU 등 주요국이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추진하면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ESG, 특히 환경과 인권, 투명성 이슈를 활용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 역시 ESG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빅파마와의 거래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서 박세연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은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ESG 대응과제' 주제를 통해 "미국, EU 등 주요국은 코로나 사태, 러·우 전쟁 이후 산업 경쟁력 저하, 무역적자 심화 등 경제 여건이 악화되면서 경제 안보를 목적으로 보호무역주의 및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본격화된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바이오산업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라고 밝혔다.

지난 9월 미국 하원은 제약 및 바이오 분야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물보안법을 통과시켰다. 중국 최대 바이오 CDMO 및 CR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와 우시앱텍(WuXi Apptec)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생물보안법은 CDMO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사로 범위가 계속 확장힐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다.

미국과 EU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ESG(환경·사회·거버넌스)를 활용하고 있다. 첨단산업 및 기술을 중심으로 밸류체인 전반에서 공급망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에 위치한 빅파마는 거래 협력사를 대상으로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 과정에 대해 탄소 중립 등 목표 달성을 촉진하고, 인권, 플라스틱 규제, 생물다양성 등 ESG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급망 관리 전반의 ESG 컴플라이언스 대응이 강조되고 있다. 일방적인 컴플라이언스 대응을 구축하기보다 국가 차원의 통상 무역 흐름을 지켜보고, 우리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해 관리,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수출기업 205개사를 대상으로 '국내 수출기업의 ESG 규제 대응현황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의 ESG 수출규제 인식 및 대응 수준이 크게 미흡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타났다.

기업경영에 가장 부담이 되는 수출규제로 48.3%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28.9%가 '공급망 실사지침(CSDDD)'를 꼽았고, '전혀 대응하지 못함' 51.9%, '잘 대응하지 못함' 16.0%로 답해 10곳 중 7~8곳은 ESG 규제에 취약성을 드러냈다.

설문조사 업체의 업종별 분포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수출규제의 어려움을 표시한 업체 대부분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공급망 실사지침(CSDDD)을 응답한 결과를 통해 설문 대상업체 중 상당 기업이 EU로 수출하는 기업일 것으로 추정됐다.

바이오의약품도 국내기업의 EU 수출상위 5위에 자리하는 대표 수출품목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공급망 실사지침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세연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중국 견제를 위한 제재 조치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미국·EU 및 중국 간 경쟁이 심화될 경우,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으나, 공급망에서 요구하는 ESG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빅파마와 거래에서 배제될 수 있기 때문에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