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사랑니는 위아래 양쪽 어금니 맨 안쪽으로 4개의 치아가 맹출 된다. 가장 늦게 나오는 어금니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중반 즈음 나온다. 사람에 따라 사랑니가 하나도 자라지 않거나 한두 개만 자라기도 하고, 4개 다 자라는 등 다양하다.
어금니 맨 안쪽에서 나오다 보니, 턱뼈가 작으면 뼈에 걸려서 누워서 나오거나 다 나오지 못하고 뼈에 묻힌 매복 상태로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매복사랑니는 여러 구강 문제를 일으키기에 발치가 필요하다.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최재용 대표원장은 "정상적으로 맹출 된 사랑니를 제외한, 대부분은 발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특히 누워 자라서 옆에 있는 어금니를 손상시킨다면 꼭 발치하는 것이 좋다. 치아 전체 배열에 악영향을 미쳐 치열을 뒤틀리게 하는 경우, 잇몸 턱뼈 안에서 낭종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발치해야 한다. 사랑니는 어금니 안쪽에 위치해 깨끗하게 양치질을 하기 어렵다. 관리가 어려워 충치나 잇몸질환이 생기고, 이로 인해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는 상황에서도 발치를 선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랑니를 방치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우선 알 수 없는 입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치열이 불규칙하게 변할 수 있고, 음식물이 잘 끼고 제거되지 않아 쉽게 염증이 발생하고 붓게 된다. 사랑니 앞에 있는 치아도 충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여러 구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이유로 사랑니는 발치하는 경우가 많다. 정상적인 사랑니라면 발치가 어렵지 않지만, 매복사랑니의 경우 난이도가 높아진다. 보통 반을 쪼개어 발치를 하거나 잇몸을 절개해 진행하게 된다.
사랑니 발치 후에도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발치를 한 뒤에는 거즈를 물고 2시간 정도 있어야 한다. 피가 나거나 침이 고이는 경우, 이를 뱉기보다는 삼키는 것이 좋다. 침을 뱉는 행동은 음압을 높여 절개 부위가 회복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양치질을 할 경우 발치 된 부위에 칫솔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하며, 식염수나 가글 용액을 이용해 헹구어 주는 것이 좋다.
최재용 원장은 "매복 사랑니발치 후에는 붓기가 있을 수 있다. 이땐 냉찜질을 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발치 후 일주일 정도는 술과 담배를 피하는 것이 좋다. 또 과도한 운동이나 목욕, 사우나도 피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사랑니발치는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신경에 많은 영향을 주는 난이도 높은 시술이다.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시술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복사랑니는 발치 경험이 풍부하고 수술에 필요한 장비를 제대로 갖춘 곳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당장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도, 치아 및 구강 상태에 추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기검진을 통해 사랑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