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 죽는 '이 질환' 젊어도 안심할 수 없는 고관절 건강

도움말/ 세란병원 정형외과 하지센터 유인선 과장

20대에서 50대까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뼈 질환이 있다. 허벅지 뼈, 즉 대퇴뼈의 상단 부분의 변형과 심한 퇴행성 고관절염을 유발하는 진행성 질환인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성인 고관절 환자 중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의 빈도가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넓적다리 뼈의 윗부분은 골반뼈와 함께 엉덩이 관절(고관절)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골반뼈와 맞닿고 있는 넓적다리 뼈의 위쪽 끝부분을 대퇴골두라고 한다.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는 대퇴골두로 가는 혈류가 차단돼 뼈 조직이 괴사되는 질환이다. 괴사라고 해서 뼈가 썩는 것 아니냐는 불안함도 가질 수 있지만 뼈가 국소적으로 죽어있을 뿐 주위로 퍼져가지 않는다.

이 질환은 대퇴골두 양쪽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다. 괴사된 대퇴골두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면 통증이 생기고 고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비교적 젊은 30~50대에 발생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약 3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퇴골두에 괴사가 발생해도 처음 느끼는 증상은 대부분 고관절 부위의 통증이다. 이는 괴사가 시작될 때 발생하지 않고 괴사가 수개월 진행돼 대퇴골두에 골절이 발생하면 증상이 나타난다. 사타구니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걸을 때 통증이 심해 절뚝거리게 된다.

시간이 경과해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하면 다리 길이가 짧아지고 양반다리가 어려워진다.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지만 허리보다 허벅지 안쪽 통증 유무와 양반다리시 불편함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확진을 위해선 엑스레이(X-ray) 검사를 하고, 필요한 경우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시행한다. MRI는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를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이다. MRI 검사를 하면 괴사 부위를 둘러싼 경계선을 발견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고관절 내의 관절액 증가, 대퇴골두 함몰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아무 증상이 없는 반대쪽 대퇴골두의 괴사까지 발견할 수 있다.

원인이나 발생 과정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과다한 음주, 부신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의 사용, 신장질환 등이 위험인자로 꼽힌다. 그러나 원인적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대퇴 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와 같은 외상에 의해서도 생긴다.

55세 이하의 젊은 환자들 중 MRI 검사 상 후방의 관절연골이 3분의 1이상 남아있고 비교적 조기에 발견되면 관절보존술을 시행한다. 그러나 괴사가 진행돼 고관절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원래 관절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괴사 부위가 큰 경우에는 나이에 관계없이 인공관절 수술의 대상이 된다.

세란병원 정형외과 하지센터 유인선 과장은 "고관절 질환은 흔히 노화로 인한 퇴행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교적 젊은 나이에 생기는 경우도 많다"며 "고관절은 골반뼈와 대퇴골을 잇는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로 퇴행성 변화나 외상이 질환의 주요 원인이지만 음주나 혈관 손상으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인선 과장은 "대퇴골두로 향하는 혈관들이 막혀 영양분, 산소가 잘 공급되지 않으면 괴사돼 통증을 유발한다. 과도한 음주와 스테로이드 복용이 괴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며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급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약간의 의심 증상이라도 있으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