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찾은 외국인 환자 117만명 '역대 최대'

누적 505만명… 일본·중국·대만 순 '피부과' 가장 많아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 수가 117만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중국·미국 대만 환자들 방문이 늘었고, 진료 과목은 '피부과'가 가장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117만 명으로 2023년 61만명 대비 약 2배(93.2%) 증가했다고 밝혔다.

외국인 환자 유치는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연평균 23.5%)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2만명으로 급감한 이후 3년간의 회복 단계를 거쳐 2023년에는 61만명, 2024년에는 117만 명까지 증가했다.

이는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9년 이래 역대 최대 실적으로 16년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누적 505만명에 이른다.

작년 한 해 동안 202개국의 외국인 환자가 우리나라를 방문했는데, 국가별로는 일본·중국·미국·대만·태국 순으로 집계됐다.

일본·중국이 전체 외국인 환자의 60.0%(70만2000명)를 차지했으며, 미국 8.7%(10만2000명), 대만 7.1%(8만3000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대만(550.6%)과 일본(135.0%), 중국(132.4%) 순으로 가장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피부과를 방문한 환자의 수가 늘어난 이유로 보인다.

권역별로는 동아시아의 방문 비중이 69.3%로(81만 명) 가장 높았으며, 미주 10.0%(11만7000명명), 동남아시아 9.6%(11만2000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일본은 작년에 이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은 2023년 대비 132.4% 증가한 26.1만 명이 한국을 찾았다. 대만은 전년 대비 550.6%로 가장 높게 증가해 작년 9위에서 올해 4위로 상승했다.

특히, 일본은 피부과(69.7%)·성형외과(14.0%)의 비중이 여전히 높으나, 피부과(155.2%) 다음으로 한방통합(150.9%)과 내과통합(102.6%)의 증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2023년 대비 32.2%가 증가한 10만2000명, 캐나다 또한 2023년 대비 58.3% 증가한 1만5000명으로 양국 모두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환자가 한국을 방문했다.

미국은 피부과·내과통합·검진센터 순으로 각각 33.0%, 14.3%, 9.7%의 비중을 보여, 다른 지역 대비 다양한 진료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5위)은 3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23.7%, 싱가포르(6위)는 2만7000명으로 97.5% 증가해 각각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외국인 환자가 방문했으며, 특히 싱가포르는 동남아 국가 중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피부과·내과통합을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피부과 및 내과통합의 증가율이 전년 대비 태국은 70.4%, 싱가포르는 210.1% 증가했다.

러시아·중앙아시아) 러시아(7위→9위)는 1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12.9%, 카자흐스탄(10위→11위)은 1만4000명으로 22.6% 증가했다.

이는 검진센터·피부과를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검진센터 및 피부과의 증가율이 전년 대비 러시아는 44.4%, 카자흐스탄은 39.6% 증가했다.

진료과별는 피부과 진료가 70만5000명으로 전체 진료과목 중 56.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성형외과(11.4%),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비교하여 피부과(194.9%), 한방통합(84.6%), 내과통합(36.4%) 순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복지부는 "지난해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에서 한국 화장품 산업이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국가 19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면서"외국인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호감도가 우리나라의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많이 방문하게 된 이유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을 가장 많이 방문(82.0%)하였으며, 종합병원(6.0%), 상급종합병원(5.1%) 순으로 이용했다.

의원을 이용한 환자는 전년 대비 138.4%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한의원(113.2%), 치과병원(24.7%)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전년 대비 각각 14.4%,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전체 외국인 환자의 85.4%인 100만 명을 유치하였으며, 경기(4.4%), 부산(2.6%), 제주(1.9%), 인천(1.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는 서울시 소재 유치등록 의료기관이 2024년 1994개소(63.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급증하는 외국인 환자의 피부과 진료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비수도권 지역도 제주(221.0%), 부산(133.6%), 충북(116.1%)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제주는 전년 대비 피부과가 781.4% 증가하였으며, 부산은 피부과 674.0%, 한방통합 170.9%, 치과 156.5%, 성형외과 127.8% 순으로 증가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3년 5월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을 통해 2027년 달성 목표였던 70만 명의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려는 정부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며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의료'와 '관광'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확대와 현장 체감형 법·제도 정비를 지속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외국인 환자 유치로 인한 우리 국민의 의료 공급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도 병행해 나아갈 계획"임을 강조했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