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뉴캔서큐어바이오, 혁신 항암제 2상 추진

'킴 효과' 기반 암 지방산산화대사 억제하는 희귀·난치성 고형암 치료제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뉴캔서큐어바이오(대표 김수열/국립암센터 최고연구원 겸직)와 공동 개발한 혁신 항암제 KN510713의 임상1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됐다고 7일 밝혔다.

국립암센터 우상명, 최원영 교수팀이 단독으로 2023년 9월부터 임상1상을 진행했으며, 2025년 3월 14일 최종 완료 후 식약처에 결과를 보고했다.

이번 임상1상의 성공을 바탕으로, 국립암센터는 췌장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2상 시험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으며, 이에 따라 임상2상시험 신청서를 식약처에 접수한 상황이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항암제 KN510713은 국립암센터 연구소에서 16년 넘게 연구해 온 암 특이적 대사를 타깃으로 한 신약으로, 제약계에서 신약 개발이 기피되고 있는 희귀·난치성 고형암 치료를 위한 치료제 개발을 1차 목표로 추진됐다.

이번 임상시험은 국립암센터 연구진이 발견한 '킴 효과(Kim Effect)'를 기반으로 암 지방산산화대사를 억제하는 세계 최초의 혁신 신약 임상시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는 설명이다.

킴 효과는 암세포의 지방산산화대사를 억제하는 기전을 활용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KN510713은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암세포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임상2상 시험에서는 췌장암 1차 치료제와 KN510713을 병용할 예정이다.

국립암센터는 "지방산산화를 억제하는 KN510과 KN713 두가지 약물을 병용하는 전략을 적용한 결과, 임상1상 시험에서 유효 약용량에서 부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며 "약물의 혼합 병용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 우려가 해소됨에 따라 임상2상의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김수열 박사는 박재갑 국립암센터 초대 원장의 권유로 2005년 미국 코넬대 의과대학에서 초빙됐으며, 2020년에는 연구재단 '시장연계 미래바이오기술개발사업'을 기반으로 원내 창업을 통해 임상시험을 추진하고 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