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선기획본부 출범… "의료정상화 위한 활동 본격화"

13일 전국의사대표자대회·대선본부 출범식 개최… 본부장에 민복기·정경호·박명하
의료정책특별위원회·의대증원·필수정책패키지 중단 촉구와 합리적안 재논의 촉구 

의사협회가 대선기획본부를 출범하고 조기 대선 국면 대응에 나선다. 의료정상화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겠다고 전면 선포하고 나선 것이다.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13일 의협회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회의' 및 '대선기획본부 출범식'을 개최했다. 

의협은 이번에 출범한 대선기획본부를 통해 의료계의 합리적 목소리가 각 당의 대선 공약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김택우 회장 

이날 김택우 회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예정없이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선기획본부를 출범하게 됐다"며 "이 출범식은 우리가 수십년간 지켜온 의료체계의 붕괴를 막고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의 모색과 의료 원칙을 바로세우기 위한 엄숙한 여정의 시작점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의료개악으로 인해 국민생명과 직결되는 의료는 처참히 붕괴되는 상황"이라며 "계엄이 촉발한 대통령 탄핵이라는 엄중한 사태로 인한 시국상황은 국가 안위를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일선 의료현장은 일방적·비상식적 정책 추진으로 황폐해졌고 의대생들의 학습권이 중대하게 침해받았다고 지적했다. 이는 대한민국 의료 백년대계를 망치고 진료권 제한으로 인한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것. 

이에 정부는 잘못된 의료농단으로 큰 피해를 감수해온 젊은 의사들과 의대생들이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 정상적 환경에서 수련과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요구했다. 

김 회장은 "이를 위해 그간 의개특위(의료정책특별위원회) 등에서 추진되던 잘못된 의료정책들을 중단하고, 의대증원과 필수의료정책패키지 등 불합리한 의료정책 추진도 합리적으로 재논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교웅 대의원회 의장도 "국민들도 비정상적 어려움에 놓여있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며 "의료를 정상화로 복원시키기 위해 집행부 대책들을 경청하고, 의견을 기탄없이 제시해야 한다. 밤을 새서라도 숙론을 통해 대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열고 조기 대선 정국에 대응하기 위한 대선기획본부 출범을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의협은 대선기획본부 공동본부장에 △민복기 대구광역시의사회 회장 △정경호 전라북도특별자치도의사회 회장 △박명하 의협 상근부회장 3인을 임명하고 본부 출범을 선포했다.

민복기·정경호·박명하 본부장과 김택우 회장은 선포문에서 "현장 목소리는 외면당하고, 합리적 전문가의 판단보다 정치적 계산이 앞서는 제도들이 의료현장을 뒤덮어 지난 1년간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더이상 대한민국 의료 붕괴를 묵과할 수 없다. 조기대선 정국이 형성된 지금,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회복시키고 국민들의 건강권을 좌우할 결정적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며 "단기적 선심성 공약이나 포퓰리즘 정책이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보건의료정책으로 둔갑해서는 안 된다. 의료는 정치 수단이 아닌, 국민 생명을 지키는 국가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대선기획본부에서는 의료계 각 지역 및 직역의 다양한 보건의료분야 공약사항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의협의 대선공약을 마련해 향후 대선의 전개 과정에서 각 당이 의료계의 합리적인 목소리를 대선공약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날 전국의사대표자들은 구호제창을 통해 △의료의 정상화, 의사들이 앞장선다 △정상적 의대교육, 교육부가 책임져라 △의료붕괴 책임자들, 즉각 사퇴하라 △윤석열표 의료개악, 국민이 무너진다 △대통령이 탄핵됐다, 의개특위 해체하라 △절못된 의료개혁, 대한민국 붕괴된다 △망가진 의료체계, 보건복지부가 복구하라 등을 피력했다.

또한 결의문 낭독을 통해 △의료개혁특위 즉각 해체 △정부·국회의 의료계 제안 논의 공식 테이블 조속한 마련 및 의협과 보건의료정책 전반 재설계 △의대생·전공의에게 내려진 행정명령 공식 사과 및 학습권·수련권 회복의 책임적 조치 마련 △교육부의 면밀한 실사를 통한 교육 불가능 대학 입학정원조정 등을 촉구했다.

이어 '대응방안 토의의 장'에서 비공개로 의협의 의료정상화를 위한 계획 소개 후 향후 대응방안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의협은 오는 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개최를 예고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