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심실이 비대한 고혈압환자의 심박수가 10bpm 증가할 때마다 총 사망위험이 27%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는 유럽 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에 발표된 것으로, 그동안 높은 심박수는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을 비롯한 및 총 사망위험 증가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좌심실 비대 고혈압 환자에게서 치료 중 심박수와 시간에 따른 사망률 관계에 대해서는 검토된 바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로살탄’이나 베타차단제인 ‘아테놀롤’로 치료받는 총 9190명의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4.8년의 추적관찰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치료 중인 고혈압 환자의 심전도상 심박수가 10bpm 높아지면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25% 증가하고, 총 사망위험은 27% 증가해 심박수의 증가와 사망률 사이에 연관이 있음이 입증된 것이다. 또한 심전도상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심박수는 이후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비롯한 총 사망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고혈압 환자의 사망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심박수 평가 또한 지속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