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주 시장 2조 8675억원

국민 1인당 소주 84병 마셔…출고량 전년비 0.07% 감소

  
지난 한 해 국내 소주 시장은 약 2조 8675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업체별로 시장점유율은 진로, 롯데, 무학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주류산업협회와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국내 희석식 소주의 총 출고량은 32억 7225만병으로 전년대비 0.07% 감소했다. 또 2011년 소주시장은 출고가격 기준으로 2조 8675억원으로 집계돼 금액상으로 2010년 대비 1.2% 감소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 1명이 평균 소주 84병을 마셔 2010년과 거의 같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성인 1명이 평균 4.3일에 1병을 마신 셈이며 비(非) 음주인구를 감안할 때 실제 술을 마시는 성인이 소비한 소주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업체별로는 하이트진로가 15억 4270만병을 출고해 47.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국 시장점유율 1위를 했고, 그 뒤로 롯데주류가 5억 990만병으로 15.6%를 차지해 2위에 올랐다. 3위는 부산·경남지역 소주회사 무학으로 4억 266만병, 점유율 12.3%를 보였다.

뒤를 이어 '참소주'를 생산하는 대구·경북의 금복주, '잎새주'로 유명한 전남의 보해, ‘C1소주’로 유명한 부산의 대선주조, 충남지역 업체인 선양 등이 각각 점유율 8.1%, 5.7, 4.1%, 3.5% 씩을 기록하며 차례로 4, 5, 6, 7위를 차지했다.

출고량 기준으로 아직은 1위와 차이가 있으나 롯데주류와 무학의 상승세가 하이트진로를 추격 중으로 나타났고, 특히 롯데주류는 2006년 ‘처음처럼’이 출시된 이후 처음으로 전국 시장점유율 15.6%를 기록해 롯데그룹으로 편입된 이후 15% 벽을 돌파했다.

이는 롯데 인수 후 유통 인프라가 풍부한 그룹과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며 소주시장의 저성장 추세에도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 롯데 이름을 단지 3년 만에 전국 점유율 15%를 넘어섰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지난 해 인수한 충북소주의 점유율까지 합치면 소주시장에서 ‘롯데소주’의 점유율은 17%에 이른다.

3위를 기록한 부산·경남지역의 무학도 부산 터줏대감인 대선주조의 영향력이 약해진 틈을 타 저도소주 ‘좋은데이’를 앞세워 부산 시장을 공략해 매년 큰 신장세를 보이면 단숨에 전국 소주업체 3위로 올라서는 저력을 보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 해 소주시장은 2010년과 비교해 큰 변화가 없어 보이지만 업체별로 내실을 다지는 한 해였다”며 “조직통합을 마친 하이트진로가 서울·수도권 점유율 30% 가까이 성장 중인 롯데주류와 서울시장을 노리는 지방 소주사들의 협공을 어떻게 방어하는지가 올해의 중요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