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14일 JP Morgan 컨퍼런스에서 일루미나는 1000달러 게놈시대가 이미 시작됐음을 알리면서 이것을 가능케 한 신기술인 HiSeq-X10을 소개했다. X10은 신기술이라는 뜻에서 X를 그리고 10대씩을 한 단위로 한다는 점에서 10을 붙인 것이다. 필자는 작년 10월 보스톤 미국 인간유전학회에서 스탠포드대 교수였던 오랜 친구인 일루미나 부사장 R.모스타파로부터 2014년 초 천불게놈 기계가 나온다는 얘기를 처음 듣고 서울대-마크로젠 컨소시엄은 11월부터 거의 1주일에 한 두번씩 일루미나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았다. 덕분에 한국은 HiSeq-X10도입으로 올해 3월부터 세계 최대의 게놈 정보 생산국이 됐다. 이 기계는 모든 면에서 최신 기능으로 강화되었는데 그중 핵심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반응이 일어나는 ordered array 기술이다. 지금까지는 아무 곳에서나 반응을 무작위적으로 일어나게 한 후 사진을 분석했는데 X10기술에서는 나노기술로 만든 일정한 간격의 미세구멍에서만 반응을 일어나게 해 카메라가 빠른 속도로 훨씬 많은 양을 분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HiSeq-X 한 대로 3일동안 16명의 게놈을 분석할 수 있어 X10으로는 일년에 약 2만명의 전장게놈을 분석할 수 있다. 이것은 속도면에서 보면 현재 기술보다 약 10배 향상됐고 경비면에서도 현재 게놈분석 가격 3000달러에서 1000달러로 낮아져 1/3로 감소됐다. X10기술의 출현은 이제 의학을 정밀의학으로 거듭나게 하고 있다. 적용 분야는 우선 암진단 및 약제 선정분야로 암세포의 유전체검사로 정밀의학이 가능하게 된다. 암을 치료 중인 약 130만명에 달하는 환자들에게 암유전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적을 알고 싸움을 하는 것'과 같은 일이 될 것이다. 또한 1000여 종의 유전 질환으로 고통을 받는 100만명 이상의 사람들에게도 병의 원인유전자를 찾아주고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게 해 원인치료를 가능케 할 것이다. 10만명 게놈분석을 목표로 하는 영국의 Genomics England 계획이나 Genome Canada 등 질병 과 관련한 거대 게놈계획들이 이제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10만명 아시안 게놈 계획을 시작해 게놈산업과 융합 보건의료체제의 두 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창조경제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