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고령화…미·일도 치매치료제 개발 박차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선진 각국 진단·치료 위해 국가정책 전방위 지원

전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치매환자의 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들이 치매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분석한 동향에 따르면, 글로벌 각국은 치매 간병서비스 확충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 중이며 특히 국가 정책 차원에서 치매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ADI)2050년 전세계 치매 환자 수가 1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20103600만명에서 올해 4680만명으로 증가한 뒤 오는 20307470만명, 2050년에는 13100만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치매 환자 증가로 인한 치매 간병비용은 20158180억달러로 추산되며 20302조달러(2200조원)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는 간병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치매 환자 삶의 질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간병 서비스의 양과 질을 모두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에자이, 아스트라제네카 등 파이프라인 다수

미국은 현재 국가 차원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속화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지난 2004년부터 대규모 임상 프로젝트 알츠하이머 뇌신경이미징 이니셔티브(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ANDI)을 통해 새로운 진단법 개발에 힘쓰고 있다.

2015년 국립보건원(NIH)이 식품의약국(FDA)과 알츠하이머협회와 제약회사 10곳과 제휴해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포괄적 분석도구인 ‘AMP-AD’라는 지식포털을 구축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영국은 국민건강보험(NHS)이 대학과 연구기관 및 기업과 유기적으로 결합해 치매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운데 2020년까지 국제치매연구소를 설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일본은 2013년 각료회의가 결정한 일본재흥전략에 입각해 2020년까지 치매의 근본 치료제 임상시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정책에 맞춰 주요 제약기업들도 치매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일본의 제약회사 에자이는 2020년 시판을 목표로 미국 바이오젠 아이덱(Biogen Idec)과 신규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공동개발키로 하고 2014년에 판매계약을 체결했다. 1996년 미국에서 승인된 치매 치료제 아리셉트(aricept)를 개발했으며 아리셉트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매 치료제이다. 현재까지 많은 임상 데이터가 축적돼 있으며 중증치매 증상에 대한 적응증도 획득했다.

미국의 제약회사 일라이릴리도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2014년 치매치료제 공동 개발 및 판매에 합의했다.

현재 관련시장에 출시된 알츠하이머 치료제와 파이프라인 현황에 따르면, 임상150, 242, 320개가 진행 중이다. 4개의 치료제가 시장에 출시됐으며 13년간 미국과 유럽에서 신규 치료제에 대한 승인 및 출시 사례가 없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에자이 등이 파이프라인을 많이 보유한 주요 업체에 속한다. Datamonitor에 따르면 20163월 기준 개발 중인 치료제 형태는 대부분 합성신약이며 항체도 9개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3년간 치매 연구개발비 1160억원 투자

우리나라는 지난 2011년 치매관리법을 제정해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치매의 예방, 치매 환자의 진료, 요양, 그리고 치매 퇴치를 위한 연구 등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하고 시행 중이다.

2014년 치매 관련 국가연구개발 투자는 총 408억원으로 전체 국가 R&D 투자액의 0.2%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20122014) 치매 관련 연구개발 총 투자액은 1159억원(연평균 증가율 4.2%)으로 나타났다. 3년간 부처별 R&D 투자는 미래부(476억원), 복지부(401억원), 교육부(118억원), 산업부(58억원) 순이다. 부처별 투자 비중은 미래부 41%, 복지부 35%, 교육부 10%, 산업부 5%를 기록했다.

정부는 지역사회 중심으로 환자와 가족이 느끼는 부담 경감 지원책 마련에 중점을 두고 2008년 제1차 치매관리종합대책을 발표, 2012년 제2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을 거쳐 2015년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다.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은 수요자 관점의 정책과제 위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예방, 진단·치료·돌봄서비스 제공, 치매 환자 가족지원, 연구·통계와 같은 인프라 확충 등 크게 4가지 분야로 구분했다.

이번 종합계획엔 약 4807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재정을 포함하면 소요예산은 이보다 훨씬 많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치매 진단비용 지원과 세액공제 등 치매환자와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치매상담수가와 치매전문병동이 마련되면 치료의 전문성이 대폭 높아질 전망이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